[현장연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브리핑

  • 3개월 전
[현장연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브리핑

이 시각 정부세종청사에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습니다.

현장을 연결하겠습니다.

[박민수 / 보건복지부 제2차관]

전공의 근무지 이탈로 인해 상급종합병원의 입원, 수술 등 전반적인 의료 이용이 줄어든 이후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입원 환자는 최근 다소 증가하고 있습니다.

2월 첫 주 대비 3월 첫 주 일평균 입원 환자는 36.5% 감소했지만 3월 12일 현재 입원 환자 수는 전주 대비 5% 소폭 회복하였습니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는 평시와 유사한 3,000명 내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수도권 주요 5대 병원도 유사한 상황입니다.

주요 5대 병원의 입원 환자는 지난주 대비 4.2% 늘어났으며 중환자실 입원 환자는 지난주 대비 0.1% 증가하였습니다.

응급의료기관도 안정적으로 운영 중입니다.

전체 408개소 중 98%에 해당하는 398개소가 병상 축소 없이 운영하고 있으며 3월 11일 기준 중등증 이하의 응급 환자는 일주일 전인 3월 4일에 비해 4.5% 정도 감소했습니다.

공공의료기관 97개소 중 52개소는 진료시간을 연장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군병원 12개소 응급실은 일반인에게 개방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중등증 환자의 입원과 경증 환자의 외래 수요는 종합병원과 지역 병의원의 비대면 진료를 통해 일부 해소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공의가 없는 종합병원의 입원 환자는 2월 첫 주 대비 3월 첫 주 7% 증가했고 3월 12일 기준 입원 환자는 지난주 대비 1.9% 증가하였습니다.

비대면 진료도 늘었습니다.

2월 23일부터 의원뿐 아니라 병원 등 모든 종별 의료기관에서 초.재진 구분 없이 비대면 진료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 전면 확대가 시작된 2월 23일부터 2월 29일까지 일주일 동안의 의료기관 청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원급 비대면 진료는 3만 569건이 청구되었으며 전주 대비 15.7% 증가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병원급은 76건을 비대면 진료로 청구하였습니다.

병원에 확인한 바로는 감기와 같은 경증 질환자가 주된 이용자입니다.

의료기관에서 진료비를 청구하는 데 1개월에서 3개월까지 소요되기도 하는 점을 감안할 때 실제로는 더 많은 국민이 비대면 진료를 이용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 소재한 한 병원은 2월 29일부터 비대면 진료를 신규 제공하였는데 증상이 경미한 비염 환자의 수요가 많았으며 환자 만족도가 매우 크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