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선 ‘인재 영입’ 경쟁…극과 극?

  • 4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4년 1월 29일 (월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구자홍 동아일보 신동아팀 차장, 설주완 미래대연합 대변인, 성치훈 민주당 정책위부의장,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김종석 앵커]
전직 KBS 아나운서 진양혜 아나운서가 오늘 팬심의 한동훈 위원장이 좋아했었다는 표현도 했고. 특히 이제 미니스커트 여경으로 많이 회자가 됐던 경찰 신설 반대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이지은 씨도 오늘 인재 영입 대상이 됐는데. 저 사진 때문에 좀 유명한 것도 있고요. 이현종 위원님. 여당은 이른바 셀럽이라고 하는 유명인 중심. 많이 인지도가 높은 사람들을 중심으로 야당은 윤석열 정부 저격수 중심으로 하는 인재영입 스타일들을 저희가 어떻게 평가를 할까요?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야당 입장에서는 주로 이제 그런 분들 올 수밖에 없죠. 아무래도 집권 여당 입장에서 보면 꽤 유명한 분들이 많이 올 수 있고 여당 프리미엄이 있지 않겠습니까. 그런 어떤 영입 경쟁인데. 그런데 이분들 다 어디다 출마를 시키실 것인가요? 준 연동형제가 고수한다고 그러면 비례대표는 꽤 힘들 겁니다. 그러니까 최근에 민주당이 저렇게 영입을 많이 하는 것을 보면 이재명 대표가 이제 병립형 가기로 결심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왜냐하면 준 연동제를 하면 본인들 지금 비례대표를 임명할 수가 없어요. 밖에 당을 만들어야 되거든요.

(병립형이라는 것은 참고사항으로 말씀드리면 과거 정당 투표해가지고 민주당 좋아하냐, 국민의힘 좋아하냐 해서 그 비례대표 1,2,3,4,5 이것 말씀하시는 거잖아요.) 그렇죠. 바로 이제 위성정당을 안 만들고 당에서 공천하는 이런 시스템으로 가자는 것인데. 아마 이런 것들이 내부적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인재 영입을 하는 것인데. 문제는 국민의힘은 현역 의원이 적기 때문에 아무래도 인재 영입을 하는 데 자유로운 측면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민주당은 워낙 현역 의원들이 많아서 거기를 어떻게 비집고 들어갈 것인지 그것도 좀 관건인 것 같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지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