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농단' 양승태 1심 선고 중…이례적 장시간 재판

  • 4개월 전
'사법농단' 양승태 1심 선고 중…이례적 장시간 재판

[앵커]

이른바 '사법 농단 사건'으로 재판에 넘겨졌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1심 선고 재판이 이 시간 진행 중인데요.

5년에 걸친 재판 끝에 법원의 첫 판결이 내려지는 건데, 이례적으로 긴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합니다.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진기훈 기자. 아직 선고 공판이 진행중이죠?

[기자]

네, 서울중앙지법은 두 시간 전 쯤인 오후 2시부터 양승태 전 대법원장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양 전 대법원장은 취재진을 피해 오후 1시 반쯤 법원에 들어섰는데요.

지난 2019년 2월 헌정사상 처음으로 사법부 수장이 구속 기소된 초유의 일이 발생한 지 약 4년 11개월 만에 법원의 첫 판단이 나오게 됩니다.

지금 세 시간 가량 재판이 진행 중인데, 최종 선고 결과가 나올 때까진 앞으로도 상당한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그동안 공판 횟수가 290회가 넘고, 양 전 대법원장이 받는 혐의만 47개, 검찰 공소장만 300쪽에 달할 정도로 내용이 방대해서 재판부가 각 공소 사실에 대한 판단 이유를 설명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는 겁니다.

양 전 대법원장의 각 혐의에 대해 유무죄 판단 이유를 설명하던 재판부는 오후 4시 10분부터 10분간 휴정을 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네, 이렇게 선고 공판에만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정도로 사건 내용이 복잡한데, 양 전 대법원장은 줄곧 혐의를 부인해 왔죠.

[기자]

양 전 대법원장이 받는 혐의는 47개인데, 먼저 박근혜 청와대와 재판 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있습니다.

상고 법원 도입과 법관 재외공관 파견 등을 추진하면서 박근혜 정부의 협조를 얻기 위해 부당하게 재판에 관여했다는 겁니다.

이 밖에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손해배상 소송을 비롯해 통합진보당 해산 관련 소송,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의 댓글 사건 관련 재판 등이 부당 개입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또 '양승태 사법부'와 뜻이 다른 판사들을 '물의 야기 법관'으로 분류해 불이익을 주고, 특정 법관 모임 와해를 시도했다는 의혹도 있습니다.

여기에 헌법재판소를 견제하기 위해 헌재 파견 법관을 활용해 내부 정보 등을 보고하도록 했다는 혐의도 받습니다.

양 전 대법원장은 '사법 농단' 사건을 검찰의 불법적인 수사권 남용으로 규정하며 그동안 혐의를 부인해왔습니다.

지금까지 서울중앙지법에서 전해드렸습니다. (jinkh@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