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에서 건진 백제의 美…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30주년

  • 5개월 전
진흙에서 건진 백제의 美…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30주년
[생생 네트워크]

[앵커]

백제 금동대향로, 직접 실물을 보지 못했어도 사진이나 영상은 한 번쯤 봤을 정도로 유명한 문화재입니다.

백제의 미학과 철학을 집대성해놓아 국보 중의 국보로도 불리는데요.

백제 금동대향로가 다시 세상의 빛을 본 지 30년이 됐습니다.

금동대향로가 전시돼 있는 국립부여박물관에서는 발굴 30주년 특별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1,400년의 역사를 머금은 백제 금동대향로입니다.

화려한 모습의 향로가 보는 이들의 눈을 사로잡습니다.

아이들도 신기한 듯 매력에 빠져들었습니다.

"교과서로 봤던 걸 실제로 보니까 너무 좋고, 원래 향을 피우는 건데, 향을 피우면 어떻게 되지라는 생각이 들어요."

높이 61.8㎝, 무게 11.8㎏의 향로는 24장의 연꽃이 새겨진 몸체와 25개의 산과 봉황이 배치된 뚜껑, 그리고 그걸 용이 받치고 있는 모습의 받침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향로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맨 밑에 금방이라도 튀어오를 듯한 용부터 우아한 자태를 뽐내는 맨 위의 봉황까지 86개의 얼굴이 오밀조밀 배치돼 있습니다.

지난 1993년 12월 충남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이 백제 금동대향로는 발굴된 지 3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발굴 당시 향로는 타원형의 구덩이 속에 묻혀 있었습니다.

1,400년 전 백제 그 자체가 진흙 속에 묻혀 있다, 다시 빛을 본 순간이었습니다.

특히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향로가 만들어졌던 시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채 발견되며 30년 전에도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습니다.

발굴된 지 30년이 지났지만 아직 백제 금동대향로의 비밀은 모두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백제의 독창적 유물이 맞는지,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이유는 무엇인지 등도 향후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할 부분입니다.

"숨겨져 있는 종교적인 부분, 사상적인 부분, 그 외에 조형적인 부분을 찾아내서 백제의 우수한 문화를 보여줄 수 있는 아주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국립부여박물관은 발굴 30주년을 맞아 '백제금동대향로 3.0 향을 사르다'라는 주제로 특별전시회를 내년 2월 12일까지 엽니다.

또 이와 더불어 백제국보관을 건립해 백제 금동대향로를 비롯한 백제시대 문화유산을 보존해 나갈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 (jinlee@yna.co.kr)

#백제금동대향로 #발굴30주년 #국보중의국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