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메가 서울’ 추진…즉답 피한 이재명 속내는?

  • 7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3년 11월 2일 (목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노동일 파이낸셜뉴스 주필, 여선웅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정혁진 변호사

[김종석 앵커]
오늘 이재명 대표는 김포 편입 문제에 대해서 ‘쉽지가 않겠네. 저항이 만만치가 않겠네.’라는 표현을 썼는데. 일단 이현종 위원님. 신중하고 엄중해야 한다는 이재명 대표 입장. 즉답은 안 했는데 좀 어떻게 판단하세요?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당연히 국가적 과제는 신중해야겠죠. 그런데 지난 선거 때, 보궐선거 때인가요? 아마 제가 기억하기로는 이재명 대표가 김포공항을 이전하겠다. 없애겠다. 이런 공약을 한 바 있습니다. 당시 송영길 대표하고, 당대표하고 나와서 기자회견도 하고 현지에 가서 했던 것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그다음에 그것이 어떻게 됐습니까? 강한 반발에 부딪혀 결국은 흐지부지되지 않았습니까. 바로 그것이 그것이죠. 국가적 중대 과제를 아무 생각 없이 훅 던졌다가 ‘저항이 만만치 않네? 쉽지가 않겠네.’라면서 접었던 것이 바로 김포공항 이전 문제 아닌가요? 그런데 지금 이 김포시의 이 문제는 김포시민들이 제가 알기로 많이 찬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김포시뿐만 아니라 다른 인근 도시에서도 굉장히 찬성의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경기도지사를 하셨잖아요. 성남시장도 하셨고. 그렇다면 이 부분에 대한 분명한 입장이 있을 텐데 천공 탓하지 마시고. 예를 들어서 이 부분에 대해서 그러면 찬성이다, 반대다. 아니면 이것은 포퓰리즘이다. 이야기를 하시든지. 입장이 아마 충분히 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경기도 문제는 늘 경기도 분도 문제도 있었고 하기 때문에 아마 고민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김포 이 서울시 편입 문제가 어제오늘 나온 문제는 아니거든요. 이미 오래전부터 이 문제가 거론이 되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 본인이 입장을 이제 밝힐 때가 되었는데 계속 천공 탓만 민주당은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도혜원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