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특검' 신속처리안건 지정…한미정상회담 상반된 평가

  • 작년
'쌍특검' 신속처리안건 지정…한미정상회담 상반된 평가

[앵커]

4월 임시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간호법 제정안부터 이른바 '쌍특검' 법안의 신속처리안건 지정까지, 여야 쟁점 법안들이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 관심이 쏠리는데요.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장효인 기자.

[기자]

네, 본회의는 오후 2시 15분부터 진행되고 있습니다.

회의 초반, 전세사기 피해 지원과 관련해 주택 경매 시 지방세보다 세입자 전세금을 우선 변제하고, 사기에 가담한 감정평가사 제재를 강화하는 법안은 여야 간 이견이 없었던 만큼 무난히 통과됐습니다.

조금 전에는 민주당과 정의당이 추진하는 '50억 클럽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특검법', 이른바 '쌍특검' 법안이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됐습니다.

표결 절차는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이뤄졌는데, 총 183표 중 182개의 찬성표가 나왔습니다.

여야는 또 다른 쟁점 법안인 간호법과 관련해서도 대치를 벌이고 있습니다.

여야 간은 물론 정부여당과 간호협회 간에도 의견이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인데, 상정이 될 경우 수적 우위를 점한 민주당 주도로 가결될 전망입니다.

민주당이 '더는 미룰 수 없다'며 강행 처리를 시사한 가운데,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에게 재의요구권 행사를 건의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난달 국회 과방위에서 야당 주도로 직회부된 방송법 개정안 부의 문제도 다뤄질 예정인데, 여야 마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한미 정상이 발표한 '워싱턴 선언'에 대해 정치권 반응이 완전히 엇갈린다죠?

[기자]

네, 국민의힘은 방미 성과 띄우기에 나섰고, 민주당은 '빈손 정상회담'이라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여야 당 대표의 발언, 함께 들어보시겠습니다.

"미국이 전세계 여러 나라 중 하나의 동맹국에 대하여 핵억제를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인 플랜을 선언하고 대통령이 약속한 최초의 사례입니다."

"진영 대결의 허수아비를 자처하면서 중국·러시아 같은 역내 국가를 자극하는 위험천만한 행동이 국익과 외교·안보에 어떤 충격을 일으킬지…."

또 여당은 미국의 전략핵잠수함 등을 한반도 주변에 사실상 상시 배치함으로써 전술핵 재배치와 같은 효과를 거뒀다고 치켜세웠지만, 민주당은 기존의 미국 핵우산 정책과 대동소이하다고 평가절하했습니다.

경제 분야에서는 23건의 MOU를 체결하는 등 '세일즈 외교'의 성과를 강조하는 여당에 맞서, 민주당은 핵심 경제 현안인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반도체법 관련 이익을 관철하지 못했다고 깎아내렸습니다.

정의당 이정미 대표도 "불안정한 한반도 상황 변화의 전기를 마련했느냐는 점에서는 낙제점"이며, 경제적으로는 '미국 우선주의'가 큰 부담인데 어떤 대책을 얻어냈느냐고 꼬집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hijang@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