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25년 만에 반도체 감산…업황 반등 기대감

  • 작년
삼성, 25년 만에 반도체 감산…업황 반등 기대감

[앵커]

삼성전자가 25년 만에 메모리 반도체 감산에 나서자 이 조치가 업황 반등을 앞당길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감산 공식화 직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각각 4%와 6% 넘게 뛰며 시장도 빠른 반응을 보였는데요.

반도체 업계는 올여름부터 반등도 가능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김장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3월만 해도 3.41달러였던 메모리 반도체 D램 범용제품 가격은 올해 1월 1.81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 역시 지난해 5월 4.81달러 수준에서 지난달 3.93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대로면 2분기에도 하락세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관측인데,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외환위기 발생 이듬해인 1998년 이후 25년 만에 메모리 감산을 공식화했습니다.

2위 SK하이닉스, 3위 미국 마이크론 등 경쟁사들이 이미 작년 말 감산을 결정한 데 이어 세계 D램 시장 점유율 45%인 1위 삼성전자가 감산에 나서자 반도체업계와 증권가에선 이 조치가 업황 반등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감산 공식화 직후 14년 만에 최악의 실적에도 삼성전자 주가가 4.3%, SK하이닉스가 6.3% 급등한 게 이같은 기대를 반영한 겁니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감산 상황이 장기화하진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 삼성은 이달 말 기업 설명회에서 감산에 대한 입장을 일부 내놓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가 감산하게 되면 반도체 가격이 안정화될 거고 여름이나 하반기쯤에는 시황이 개선되면서 반도체 경기가 좋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업계에선 다만, 삼성전자 D램 재고가 업계 적정 재고인 5주 치를 한참 넘어선 21주 치 이상 수준에 이른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 때문에 감산을 넘어 모바일과 서버용 수요 증대를 통한 빠른 재고 감소가 시급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

#삼성전자 #메모리_반도체 #감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