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특위 2차 기관보고…용산구청·경찰 집중 질타

  • 작년
국조특위 2차 기관보고…용산구청·경찰 집중 질타

[앵커]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두 번째 기관 보고를 진행했습니다.

서울시와 서울경찰청, 용산구청 등을 상대로 참사 대응의 적절성을 질타했는데요.

더불어민주당에선 특위 활동기간 연장 필요성도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최지숙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와 대검찰청, 서울경찰청 그리고 용산구청 등을 대상으로 한 2차 기관보고.

국조특위 여야 위원들의 질의는 주로 용산구청과 경찰의 조치에 집중됐습니다.

"돌아봤는데 제일 위험한 곳이 이곳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CCTV를 설치할 계획이 없었고 전혀 의도가 없었다는 것이 말이 됩니까?"

"예방 활동을 뭘 했어요! 이 사람들(현장에 배치된 형사들) 50명이 호루라기라도 들고 통제를 했다면 이 참사는 없었다 이거에요!"

김교흥 의원은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의 사퇴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참사 당시 용산구청 당직사령이 출석한 가운데, 참사 인지 시점 허위보고 의혹과 책임 회피성 답변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습니다.

"서울 소방이 용산구청 당직실에 연락했을 때 이미 이태원역 앞 해밀톤 상황을 알고 있었다는 거예요. 녹취록이 다 있어요. 그런데 어떻게 전화를 안 받았다고 하십니까?"

대검은 '정부의 마약 단속 강화 기조 탓에 경찰력이 참사에 집중되지 못했다'는 일각의 지적에 선을 그었습니다.

"참사 당시 이태원 일대에서 검찰은 마약 수사 활동을 한 사실이 없습니다. (수사 지휘한 적 있습니까?) 지휘한 적 없습니다."

이번 기관 보고에는 박희영 용산구청장을 비롯한 일부 증인들이 구속이나 코로나19 확진 등 사유로 출석하지 않았습니다.

우상호 위원장은 청문회에도 불출석 의사를 보이면 동행 명령을 발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야당은 당초 합의한 세 차례의 청문회를 위해서라도 국정조사 기간 연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지만, 여당은 선을 긋고 있어 충돌이 재연될 가능성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js173@yna.co.kr)

#이태원참사 #국정조사 #기관보고 #서울시 #서울경찰청 #용산구청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