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위협 맞선 한미일 "북한 핵보유국 인정 안 해"

  • 작년
핵 위협 맞선 한미일 "북한 핵보유국 인정 안 해"
[뉴스리뷰]

[앵커]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의 북핵수석대표들이 석 달 만에 다시 만나 북핵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한미일 3국은 국제사회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는 데 공감대를 이뤘습니다.

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과 미국, 일본 북핵 수석대표들이 한데 모여 올해 북한이 벌인 유례없는 도발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그러면서 7차 핵실험과 같은 북한의 추가 대형 도발에 대응하려면 3국을 넘어 국제사회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성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하라고 촉구하는 것에 모든 국가가 함께 해달라"고 요청하면서 "북한의 위협은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를 낼 때 해결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강도 높은 경고 메시지를 내놓았습니다.

"지난 30년간 국제사회는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해왔다"면서 북한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될 것이란 작은 희망이라도 있다면 "정신 차리고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꾸짖었습니다.

3국은 또 안보협력을 지속 확대해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2027년까지 방위비를 국내총생산 GDP의 2%까지 올리기로 한 점을 거론하며 '반격 능력'을 포함한 모든 옵션을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같은 날 서울에선 대니얼 크리텐브링크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와 최영삼 외교부 차관보 간 양자 회담도 진행됐습니다.

두 차관보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의지보다 국제사회의 북한 비핵화 의지가 더 강하다는 점을 보여줘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했습니다.

이는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가 어려워지자 북한의 고도화하는 위협에 맞서 억제력 강화에 공을 들이는 한미일간 긴밀 공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hyunspirit@yna.co.kr)

#한미일_북핵수석대표 #북한 #핵보유국 #7차핵실험 #대북억제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