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읽기] 고공행진 멈춘 국제유가…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영향?

  • 2년 전
[경제읽기] 고공행진 멈춘 국제유가…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영향?


연일 고공행진하던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앞으로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줄 것이라는 우려가 시장에 확산된 영향으로 보이는데요.

경기침체 가능성과 하반기 경제 상황은 어떠할지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각종 대책에도 불구하고 백약이 무효하다는 듯 고공행진을 이어가던 국제 유가가 하루 만에 8~10% 가량 하락했습니다. 인플레이션보다 경기 침체 우려에 대한 걱정이 더 크게 작용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 설명해주신다면요?

원유뿐 아니라 금속을 비롯한 주요 원자재와 곡물의 선물 가격도 대부분 하락했습니다. 달러화로 거래되는 원자재 가격이 비싸졌고 수요가 위축되며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에 좋아할 수만은 없는 상황인데요. 물가 영향은 어떨까요?

글로벌 금융시장도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코스피도 영향을 받아 하락 출발한 가운데 전 세계 주요국들이 12개월 이내 경기침체 국면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점차 커지는 경기침체 우려 어떻게 보시나요? 하반기 경제 영향은 어떻게 전망하세요?

올해 1분기 도시에 거주하는 근로자 가구 소득이 1년 전보다 증가했지만 실질 소득은 감소했습니다. 소득보다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으로 해석되는데 가계 부담이 얼마나 커진 건가요?

심각한 고물가 상황에 민생 안정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고위 당정협의회가 오늘 개최됐습니다. 윤 대통령도 매주 비상경제 민생회의를 주재하겠다고 했는데 현재 상황에서 어떤 대책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시나요?

편의점 점주들이 심야에 물건값을 올려받는 '할증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내년부터 밤 12시부터 오전 6시까지 물건 가격을 최대 5% 올려 판매할 수 있게 해달라는 건데 왜 이런 요구가 나오게 된 건가요?

편의점 심야 할증제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어떤가요?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9620원으로 결정된 이후 노사 모두 반발하며 여파가 예상됐었는데 부작용 완화를 위해 어떤 논의가 필요하다 보세요?

#국제유가 #원자재 #경기침체 #고물가 #고위당정협의 #최저임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