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안팎 물가 비상…'총재 없는 금리 인상' 대두

  • 2년 전
나라 안팎 물가 비상…'총재 없는 금리 인상' 대두

[앵커]

코로나 사태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우크라이나 사태가 겹쳐 글로벌 물가 상승세가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미국이 정책금리 대폭 인상을 예고한 가운데, 한국은행도 총재 공석 상태에서 내일(14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요.

커진 물가 압력 탓에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소재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5%, 또다시 4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계속되는 물가 고공 행진에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는 다음 달 기준금리 대폭 인상을 기정사실화했습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연방기금금리의 목표 범위를 계속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렇게 되면, 환율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서라도 한국 역시 기준금리 인상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요인이 아니라도 국내 물가 역시 상황이 심상찮습니다.

3%대 상승폭을 이어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월엔 4%를 넘었고, 이런 흐름이 당분간 불가피한 만큼, 한은이 미리 대응에 나서야 하기 때문입니다.

새 정부와의 정책 공조 차원에서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높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물가를 최우선 과제로 꼽은데 이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도 지명 일성으로 물가 안정부터 언급했습니다.

"경제 장관이 원팀이 돼서 당면 현안인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두면서 풀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점증하는 물가 상승 압력은 총재 부재 상태인 한은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도록 압박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설사,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해도 다음 회의로 인상 시기를 미루는 것에 불과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sojay@yna.co.kr)

#소비자물가 #기준금리 #물가안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