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신변보호자 신고 불구…대응 최고단계 미발령 논란

  • 3년 전
[단독] 신변보호자 신고 불구…대응 최고단계 미발령 논란

[앵커]

스토킹 신변보호 여성 피살 사건과 관련해서도 경찰 대응에 아쉬운 점이 적지 않습니다.

피해자 신고를 접수한 경찰은 규정상 최고 단계의 대응을 지시해야했지만 현장에서는 이행되지 않았습니다.

정인용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신변 보호' 여성 A씨는 지난 19일 오전 11시 29분 전 남자친구가 집 앞에 찾아오자 스마트워치로 즉각 신고했습니다.

경찰은 신고 위치값 오류로 사건 현장을 실제 장소인 서울 저동이 아닌 명동으로 파악했고, 남대문경찰서에 출동 지령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알고보니 당시 첫 출동에서 경찰은 112 신고대응 최고 수위인 코드0 보다 아랫 단계인 코드1으로 전파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신변 보호자는 규정상 코드0 대상자고, 앞서 피해자의 신고도 여러 차례 있었지만 반영되지 않은 겁니다.

코드1과 달리 코드0는 인근 경찰서와 '공조 출동'이 이뤄지는 만큼, 피해자 위치가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당시에는 더욱 절실한 상황이었습니다.

결국 피해자가 2번째 신고를 했을 때 경찰은 부랴부랴 중부경찰서에 코드0로 격상해 전파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2번째 신고가 들어오는 과정에서 긴급성을 인지했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급박했던 피해자 상태를 고려하면 경찰 대응이 느슨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옵니다.

"긴급한 즉각적인 찰나의 판단이 중요하잖아요. 경찰 대응 능력을 점검하고 강화시켜줄 필요가 있는데… 재교육이 계속돼야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얘기죠.

신고나 범죄 관련 매뉴얼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교육과 훈련이 뒷받침 돼야한다는 지적입니다.

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 (quotejeong@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