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역 등 도심 고밀개발 2차 후보지 13곳 공개

  • 3년 전
청량리역 등 도심 고밀개발 2차 후보지 13곳 공개

[앵커]

정부의 2·4 부동산 대책의 핵심인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과 관련해 2차 후보지가 선정됐습니다.

청량리역과 미아사거리역 인근 등 모두 13곳에 고층아파트를 추가로 짓기로 했는데요.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서울 도심내 1만3천가구가 추가 공급됩니다.

이재동 기자입니다.

[기자]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의 2차 후보지는 강북구와 동대문구 등 서울의 2개 자치구 13개 구역입니다.

청량리역과 미아사거리역, 미아역 등 역세권이 8곳, 청량리동 주민센터와 옛 수유12구역 등 저층주거지가 5곳입니다.

이곳에서 정부의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5년 안에 약 1만 3천가구의 신축주택이 공급됩니다.

지난달 공개된 1차 후보지 물량 2만 5천가구와 합하면 지금까지 발표된 물량은 3만 8천가구 규모에 달합니다.

두 차례에 걸쳐 후보지가 선정됐지만 실제 사업 승인까지는 토지와 건물주 3분의 2 이상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국토부는 이번에 선정된 13곳의 사업효과를 분석한 결과 민간 개발에 맡겼을 때보다 용적률이 평균 56% 포인트 높아지고, 공급세대는 평균 251세대가 증가한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토지주 수익은 평균 28.2% 포인트가 더 높아진다며 주민 참여를 낙관했습니다.

또 올해 중에 주민동의를 받아 사업에 착수하는 경우 토지주에게 최고 수익률을 보장하고 건축규제 인허가 등을 우선 처리하는 등 적극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된 1차 후보지들에서 주민동의서가 벌써 제출되는 등 주민 호응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정부 지원을 집중해 조속히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1차 후보지 때와 마찬가지로 발표된 후보 지역을 당장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진 않았지만, 이상 거래가 포착될 경우 수사를 의뢰하는 등 투기 수요유입을 차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