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이 소형보다 비싸?…이상한 전기차 보조금

  • 4년 전
◀ 앵커 ▶

코로나19로 배달이 늘면서 근거리 이동에 적당한 초소형 전기 화물차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초소형 전기 화물차가 1톤 짜리 보다 오히려 더 비싼, 가격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김진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최근 늘어난 초근거리 배달업체들은 초소형 전기 화물차를 선호합니다.

유지 관리비가 저렴하고 소음이 없어 야간 배달에도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적재 한도가 300kg인 초소형 모델이 적재량 1톤인 소형보다 오히려 구입 가격이 더 비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소형 전기화물차 가격은 4,050만원이지만 보조금 2,700만원을 받고 있습니다.

반면 2,167만원인 초소형 전기화물차는 보조금이 768만원에 불과합니다.

보조금을 감안하면, 소형은 1,350만원인데 초소형은 1,399만원이 되는 겁니다.

그런데 여기에 10% 부가세 환급까지 더해지면 소형은 982만원, 초소형은 1202만원으로 가격 차이는 더 벌어집니다.

## 광고 ##보조금은 동급의 일반 화물차 가격과 비교해 차액을 보전해주는 건데, 초소형 전기 화물차는 비교할 화물차가 딱히 없다보니, 보조금이 적게 책정됐다는 게 정부측 설명입니다.

국산 초소형 전기 화물차 출시를 기다리던 세탁소연합회나 근거리용 택배업체들은 구입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최충훈/운수업체 대표]
"(전기 화물차) 향후 5백 대 정도를 구매할 의향이 있습니다. 1톤 차와 동등한 가격이라면 포트로(초소형)를 구매하기가 어렵지 않느냐…라는 거죠."

공공주문과 함께 수출 계약은 잇따르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내수 시장에서는 왜곡된 가격 구조로 외면받고 있는 겁니다.

이상한 보조금 정책 때문에 문재인 정부의 2호 상생형 일자리인 '횡성 전기차 사업'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MBC뉴스 김진아입니다.

MBC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