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중심' 구호 어디 갔나…설화 거듭한 여야

  • 4년 전
'피해자 중심' 구호 어디 갔나…설화 거듭한 여야

[앵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사건이 확산하는 가운데 정치인들의 부적절한 설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행동에 신중을 기울이긴커녕 2차 가해까지 우려되는 언행에 민심은 싸늘합니다.

장윤희 기자입니다.

[기자]

민주당은 박원순 전 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한 전직 비서를 '피해 호소인'이라 표현해왔습니다.

성추행 피해를 일방적 주장으로 치부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왔지만, 여성가족부가 법상으로 '피해자'란 표현이 적합하다고 발표한 뒤에야 지침을 바꿨습니다.

박 전 시장 사망 일주일만으로 당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우리 당의 일련의 대처 과정에서 피해자 보호에 부족한 점이 있었습니다. 피해자분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박 전 시장 측근인 윤준병 의원은 피해자가 가짜 미투 의혹을 제기했다는 뉘앙스의 글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큰 비난을 받았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윤 의원은 해당 글을 삭제하고 "피해자의 고통을 전혀 눈치채지 못해 미안하다"며 가짜 미투 의혹을 제기할 의도는 없었다고 사과했습니다.

이해찬 대표도 사태 악화에 말을 보탰습니다. 빈소에서 박 전 시장 성추행 의혹을 묻는 기자에게 예의가 아니라며 욕설을 했다가 대변인을 통해 사과했는데, 되레 '대리 사과' 논란만 키웠습니다.

설화 주의보는 야당도 마찬가지입니다. 미래통합당 정원석 비대위원은 박 전 시장 성추행 사건을 부도덕한 사건을 뜻하는 '스캔들'이라 지칭해 2차 가해 논란을 빚었습니다.

정 위원이 즉각 사과했지만, 비판 여론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통합당은 긴급회의를 열어 활동을 정지시켰습니다.

"정치하는 사람이 말을 조심할 줄 알아야지. 그런데 그냥 생각 없이 그런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사전 경고하는 의미에서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자유한국당 대표를 지낸 무소속 홍준표 의원은 '서울시에 채홍사 역할을 한 사람도 있었다더라'는 페이스북글로 2차 가해란 비난을 받았습니다.

피해자 중심 해결을 외쳐온 정치권. 그러나 정작 피해 상처만 키우는 언행에 여론은 싸늘히 얼어붙었습니다.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eg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