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 다녀간 '3천 명' 불통…'강제 추적' 나선다

  • 4년 전
◀ 앵커 ▶

이 3천여 명은 클럽을 들어갈 때 작성한 이름과 연락처가 거짓이거나 고의로 전화를 받지 않고 있다는 게 당국의 판단입니다.

이 때문에 신용 카드 사용이나 당시 휴대전화 기지국 접속 기록을 통해 숨어있는 3천여 명을 추적하기로 했습니다.

남효정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5일까지 이태원 클럽 출입자는 모두 5천 517명.

서울시가 파악한 이 명단에서 절반이 훌쩍 넘는 3천 112명이 연락이 닿지 않고 있습니다.

공무원들이 수시로 연락을 시도하지만, 없는 번호이거나 받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용산구청 관계자]
"(전화를 하면) 자기 번호가 아니다 이렇게 답변하는 분이 있거든요. 아예 아주 없는 번호를 줘가지고 결번인 경우도 있고 그랬죠."

결국 서울시가 이들을 추적하기 위해 '강제 조치'를 꺼내들었습니다.

[박원순/서울시장]
"일부러 전화를 피하거나 허위로 기재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발적으로 나서서 검사를 원합니다만, 강제적 조치도 병행해서 취할 수밖에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서울시와 용산구청은 연락이 닿지 않는 3천여 명을 추적하기 위해 경찰 등에 곧바로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경찰은 코로나19 신속대응팀에 2천 1백여 명의 수사인원을 투입해 클럽 출입 당시 적은 전화번호를 토대로 출입자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허위 정보가 발견되면서 휴대전화 기지국 접속 정보는 물론 주변 CCTV까지 확인해 최대한 빨리 신원을 파악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더나아가 이태원 클럽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한 사람의 정보를 확보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박기수/고려대 환경의학연구소 교수]
"촉각을 다투는 문제입니다. 하루 이틀 늦추게 되면 국민이 많은 지역이 또 폐쇄를 해야 하고 의료 자원이 들어가고…"

서울시는 고의로 검사를 받지 않으면, 벌금 200만원을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이른바 '헌팅포차' 등 유사 유흥업소에도 7대 방역수칙 준수 명령을 내리고, PC방과 노래방도 감염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면 집합금지 명령을 내리겠다고 강조했습니다.

MBC뉴스 남효정입니다.

(영상취재: 조윤기 영상편집: 정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