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시민당과 합당' 당원 투표…野 이합집산 주시

  • 4년 전
민주 '시민당과 합당' 당원 투표…野 이합집산 주시
[뉴스리뷰]

[앵커]

더불어민주당이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의 합당 찬반을 묻는 권리당원 투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오는 15일까지 합당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인데, 야당의 움직임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최덕재 기자입니다.

[기자]

민주당은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시민당과 합당에 대한 찬반을 묻는 투표를 24시간 동안 진행합니다.

합당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지난 1일부터 시작된 당원 토론도 투표 시작과 함께 종료됐습니다.

일주일간의 토론 기간과 투표까지 거치는 것은 당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당원 게시판에서는 "미래통합당과 똑같이 비열해 질 수는 없다"는 의견과 "합당을 서두를 필요가 있느냐"는 목소리가 나오는 등 찬반이 분분합니다.

다만 두 당이 총선 이전부터 합당을 공언한 만큼 투표가 부결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투표 이후 15일까지 합당수임기관회의에서 합당을 의결하고 선관위에 신고를 마치면 민주당 의석 수는 시민당 14석을 합쳐 177석으로 늘어납니다.

당초 시민당 당선인은 17명이지만 용혜인, 조정훈 당선인은 출당 조치를 통해 원래 정당으로 돌아갈 예정이고 양정숙 당선인은 부동산 의혹으로 제명된 상태입니다.

합당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민주당은 동시에 통합당의 비례 정당인 한국당의 독자 교섭단체 구성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미래한국당에서 교섭단체 구성을 갖고 여러 논의가 있는 모양인데 제발 다시 부탁을 드립니다. 그런 일이 없도록…"

야당 교섭단체가 늘면 국회 부의장과 상임위원장 배정, 21대 국회 원내 협상 과정에서 야당의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앞서 민주당은 시민당을 별도 교섭단체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지만 '꼼수'라는 비판이 일자 뜻을 접었습니다.

민주당은 한국당이 독자 교섭단체를 만들 경우 여야 합의에 따라 원구성을 해오던 관례를 따르지 않는 등의 특단의 대책도 고려한다는 입장입니다.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