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거부 뻔한 '대북제재 완화' 추진 중국·러시아 속셈은

  • 4년 전
美거부 뻔한 '대북제재 완화' 추진 중국·러시아 속셈은

[앵커]

미국 등 서방의 거부가 뻔한데도 중국과 러시아 유엔 안보리에 대북제재 완화를 공식적으로 요구한 이유는 뭘까요.

인도주의 차원이라는 공식적 목적 외 두 나라와 북한과의 특수 관계를 고려한 다목적 포석이 깔려 있다는 분석입니다.

남현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과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북제재 일부 해제를 요구하는 결의안 초안을 제출하면서 그 이유로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건 대외용일뿐 미국 등 서방의 반대가 뻔한 상황에서 그런 행동을 한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는 분석입니다.

미국에 맞서 북한의 큰 형님 역할을 자처해 온 중국은 수년째 제재를 받으면서 사실상 막다른 길에 몰린 북한에 활로를 틔워주기 위해 안보리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중국 소식통들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는 지난 6월 시진핑 주석의 방북 이래 북한으로부터 대북 제재 완화에 앞장서 달라는 주문을 받아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수교 70주년을 맞아 하반기로 예상됐던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이 성사되지 않은 것에 대해 뒤늦게 북한에 성의 표시가 필요했던 것도 배경으로 꼽힙니다.

러시아의 관심은 이번 초안에도 담겼듯 북한 해외 근로자들의 본국 송환에 있습니다.

유엔 안보리가 2017년 12월 채택한 대북제재 결의는 해외 파견 북한 근로자들을 24개월 이내에 송환하도록 했고 그 시한이 오는 22일입니다.

북한도 이 제재로 외화벌이가 막혀 걱정이지만 극동 개발 등에 있어 북한 근로자의 값싼 노동력이 절실한 러시아도 타격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최종 시한을 앞두고 북러 접경 지역에는 귀국을 서두르는 북한인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연합뉴스TV 남현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