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또 통상 압박에 나섰습니다.
각 나라들이 미국에 취한 부정행위라며 8가지 항목을 꼬집었는데, 앞으로 협상에서 이 부분도 따져보겠단 겁니다.
사흘 뒤 미국과 관세 협상을 앞둔 우리도 예외가 아닙니다.
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각 어제 각국의 '비관세 부정행위' 8가지 유형을 공개했습니다.
환율 조작을 시작으로 부가가치세, 원가보다 낮은 덤핑, 수출 보조금 같은 정부 지원금, 농업 보호 기준과 기술 기준 등 8가지를 '비관세 사기'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관세 해제의 가장 쉬운 길은 미국에서 직접 생산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정부당국자는 채널A에 "8개 항목 중 상당수가 우리도 관련이 있고 예의주시해야 할 사안"이라며 "꼼꼼하게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지난해 11월 미국의 환율 관찰대상국 명단에 다시 올랐고, 10%로 설정된 우리 부가가치세는 비슷한 세목인 미국의 판매세 6.6%보다 높다는 점 등이 향후 협상에서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트럼프는 한국의 세탁기 덤핑으로 미국이 피해를 봤다며 한국을 콕 집어 불평한 적도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 1월)]
"한국이 세탁기와 다른 제품들을 덤핑하고 있었거든요. 우리는 50%, 75%, 100%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번에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한국의 30개월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도 압박 카드가 될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
사흘 뒤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를 앞 둔 우리로서는 관세, 방위비 분담금에 비관세 사안까지 짐이 더 부과된 격입니다.
미국 현지 매체들은 트럼프 재집권이 가져온 경제적 낙관주의가 사라졌다며 트럼프의 경제 지지율은 최악의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
영상취재 : 정명환(VJ)
영상편집 : 석동은
최주현 기자 choigo@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대통령이 또 통상 압박에 나섰습니다.
00:04각 나라들이 미국에 취한 부정행위라며 8가지 항목을 꼬집었는데
00:08앞으로 협상에서 이 부분도 따져보겠다는 겁니다.
00:12사흘 뒤 미국과 관세 협상을 앞둔 우리도 예외가 아닙니다.
00:16워싱턴에서 최주현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00:21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어제
00:24각국의 비관세 부정행위 8가지 유형을 공개했습니다.
00:28환율 조작을 시작으로 부가가치세, 원가보다 낮은 덤핑,
00:33수출 보조금 같은 정부 지원금, 농업 보호 기준과 기술 기준 등
00:388가지를 비관세 사기라고 주장했습니다.
00:43그러면서 관세 해제의 가장 쉬운 길은
00:45미국에서 직접 생산하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00:51정부 당국자는 채널A에 8개 항목 중 상당수가 우리도 관련이 있고
00:56예의주시해야 할 사안이라며
00:58꼼꼼하게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01:02한국은 지난해 11월 미국의 환율 관찰대상국 명단에 다시 올랐고
01:0710%로 설정된 우리 부가가치세는
01:10비슷한 세목인 미국의 판매세 6.6%보다 높다는 점 등
01:15향후 협상에서 약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01:18트럼프는 한국의 세탁기 덤핑으로 미국이 피해를 봤다며
01:23한국을 콕 집어 불평한 적도 있습니다.
01:38이번에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한국의 30개월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도
01:44압박 카드가 될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
01:48사흘 뒤 한미 2 플러스 2 고위급 통상협의를 앞둔 우리로서는
01:52관세, 방위비 분담금에 비관세 사항까지 짐이 더 부과된 격입니다.
01:59미국 현지 매체들은 트럼프 재집권이 가져온 경제 낙관주의가 사라졌다며
02:04트럼프의 경제 지지율은 역대 최악의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02:08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최주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