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오늘 방북…포괄적 전략동반자 협정 체결할 듯

  • 8일 전
푸틴, 오늘 방북…포괄적 전략동반자 협정 체결할 듯

[앵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늘 저녁 평양을 찾습니다.

24년 만의 방북인데요.

보도국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한미희 기자.

[기자]

네, 북한과 러시아는 어젯밤 푸틴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는 건 처음 대통령에 취임한 2000년 7월 이후 24년 만입니다.

당시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직접 공항에 나와 영접하고, 북러 공동선언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직접 만나는 건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정상회담 이후 세 번째인데요.

지난해 9월 김 위원장이 러시아 극동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를 방문한 이후 9개월 만에 이뤄지는 답방입니다.

푸틴 대통령은 오늘 저녁 평양에 도착하는 만큼 정상회담 등 본격적인 일정은 내일(19일) 소화할 예정입니다.

또 내일 바로 베트남으로 이동할 예정이어서 평양에 머무는 시간은 만 하루를 넘기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북한과 러시아 모두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으며 고립된 상황에서 불과 1년도 채 되지 않아 다시 만나는 건데요.

두 정상 사이에 어떤 이야기가 오갈까요?

[기자]

네, 푸틴 대통령은 오늘 아침 북한 노동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무역 협력을 주로 언급했습니다.

"서방의 통제를 받지 않는 무역, 결제 체계를 발전시키고 비합법적인 제한 조치들을 공동으로 반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건데요.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는 두 나라가 미국 중심의 국제 금융 시스템과 기축 통화인 달러화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체적인 시스템을 갖추자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이번 회담에서 두 정상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크렘린궁 보좌관은 어제 기자들에게 푸틴 대통령이 북한에서 여러 중요한 문서에 서명할 계획이라며 이렇게 밝혔는데요.

지금까지 양국이 체결한 기본 문서들을 대체해 현재의 지정학적 상황과 북러 양자 관계를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가장 중요하고 민감한 사안들이 논의될 비공식 대화에 꽤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등 국제사회가 가장 우려하는 건 아무래도 두 나라의 군사협력일 텐데요.

반응들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우선 미국 백악관은 두 나라의 관계 심화를 우려한다며 긴밀히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한 무기가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다,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처가 있을 수 있다는 데 우려하고 있는 겁니다.

실제 지난해 김 위원장의 러시아 우주기지 방문 당시 공언대로 푸틴 대통령은 북한에 기술자를 보내 정찰 위성 발사를 지원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러시아의 방북 수행단에도 경제, 외교 분야 수장들 외에 국방부 장·차관과 우주공사 사장이 포함돼 있습니다.

우리 정부 역시 러시아 측에 '선을 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