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일타강사] 내 한 표의 가치…국회의원 뽑는데 얼마나 들까

  • 3개월 전
[총선 일타강사] 내 한 표의 가치…국회의원 뽑는데 얼마나 들까

22대 총선이 한 달 남짓 남았습니다.

4월 10일 선거일까지 함께할, 알아두면 쓸데있는 선거 이야기, '총선 일타강사', 시작합니다.

자, 우리, 조금 솔직해져 볼까요?

요새 정치 얘기 머리 아프시죠.

먹고 사는 것도 바쁜데 '선거가 나랑 얼마나 상관이 있나'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일타강사 첫 주제, '내 한 표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 입니다.

다 아시죠?

이거 다 우리 세금입니다.

먼저 선거를 치르는 비용입니다.

이번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치르는 데에는 3,920억원 필요합니다.

인건비나 설비비 등 선거관리경비에 2,848억원이 필요하고요.

일정 득표율 이상을 얻은 후보나 비례대표를 당선시킨 정당에 보전해주는 선거비용이 1,072억원 들어갑니다.

이번 총선 선거인수가 작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4,424만명 정도 되니까, 한 표당 8,860원 들어가는 셈입니다.

어떤가요, 생각보다 좀 적은가요?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이번 총선에 뽑힌 국회의원에게 앞으로 4년간 들어갈 비용이 있습니다.

먼저 국회의원 수당이 있죠.

작년 기준으로 일반수당, 관리업무수당, 명절휴가비 등등 해서 일 년에 1억 7백만원이 조금 넘습니다.

경비도 볼까요?

입법활동비, 특별활동비 이런거 다 해서 4,700만원 정도 됩니다.

그럼 일년에 총 1억 5,400만원이 좀 넘습니다.

임기가 4년이니까 6억 1,700만원정도고, 300명이면 1,851억원이 넘습니다.

아직도 끝이 아닙니다.

각종 입법 활동 지원 예산이 더 있습니다.

사무실 운영비, 출장비 등 다 해서 일년에 1억 1,300만원 조금 안됩니다.

임기 4년이면 4억5,100만원을 웃돌고, 300명이니까 1,353억원이 넘습니다.

자, 숫자가 많이 나왔죠.

짧게 정리해볼까요?

셰프의 요리를 특별하게 하는 '킥(Kick)', 여기서 '일타의 킥' 들어갑니다.

4월 10일 선거 치르는 데 들어가는 비용과 국회의원 300명이 4년간 활동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모두 합하면 7,125억원 수준입니다.

선거인수 4,424만명으로 나누면, 우리가 행사하는 한 표의 가치는 16,104원입니다.

이 계산에는 국회의원 보좌관 임금이나 입법 지원을 위한 국회 사무처 비용 등은 포함되지 않았으니까, 이것까지 생각하면 금액이 훨씬 더 커지겠죠?

막연하게 생각했던 한 표의 가치가 피부에 와 닿으셨길 바랍니다.

선거날, 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셔야겠죠?

알아두면 쓸데있는 선거이야기, 총선 일타강사였습니다.

#총선 #선거 #일타강사 #국회의원 #세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