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근무 중단 이틀째…"8천여명 사직서 제출"

  • 4개월 전
전공의 근무 중단 이틀째…"8천여명 사직서 제출"

[앵커]

전공의들의 근무 중단 이틀째 병원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추가 사직서 제출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임광빈 기자,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보건복지부는 어제(20일) 밤 10시 기준 주요 100개 수련 병원 소속 전공의 약 71%인 8,816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직서가 수리된 곳은 아직 없지만, 사직서 제출한 전공의 중 63%인 7,813명이 근무지를 이탈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근무지를 이탈한 전공의 중 기존 715명을 포함한 6,112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했습니다.

복지부는 "사직서를 제출한 전공의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발령하는 것은 헌법상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한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 입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는데요.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의 말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면서 병원이 대비할 시간적 여유조차 주지 않고 일시에 집단적으로 사직하는 게 과연 헌법상의 기본권입니까?"

박 차관은 헌법은 모든 자유와 권리는 공공복리를 위해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의료법 역시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권한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만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의대생들이 전공의 근무 중단에 맞춰 동맹휴학을 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어제(20일) 기준 전국의 40개 의과대학 중 27개 대학 7,620명이 휴학 신청을 한 것으로 교육부는 파악했습니다.

[앵커]

환자의 피해사례도 정부가 접수하고 있는데요.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병원 현장에서 환자들의 피해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 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사례는 총 58건이라고 밝혔습니다.

주로 일방적인 진료예약 취소, 무기한 수술 연기 등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병원 현장에서의 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의료공백을 막기 위한 비상진료체계 가동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복지부는 오늘(21일) 오전 조규홍 복지부 장관 주재로 국립중앙의료원과 국립암센터, 각 지방의료원 등 전국의 97개 공공의료기관장과 간담회를 열어 비상진료체계를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임광빈 기자 (june80@yna.co.kr)

#전공의 #사직서 #업무복귀명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