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화 경선서 헤일리 뜨자 경쟁자들 성차별성 공격

  • 5개월 전
美 공화 경선서 헤일리 뜨자 경쟁자들 성차별성 공격

[앵커]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 레이스에서 '트럼프 대항마'로서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가 부상하면서 다른 후보들의 집중포화를 받고 있는데요.

'여성'이란 점이 공격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이런 성차별성 공격에 대한 태도와 대응이 앞으로 지지율 변수 중 하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전 대통령은 헤일리 전 대사를 '새 대가리(birdbrain)'라고 불렀습니다.

지적 능력이 부족하다는 뜻의 이 표현은 미국에서 주로 남성이 여성을 비하할 때 쓰는 멸칭입니다.

트럼프는 자신이 유엔대사로 임명했던 헤일리를 향해 "과한 야심이 있고, 가만히 있지를 못한다"고도 비판했습니다.

초반 반짝 인기를 누리던 억만장자 사업가 출신 라마스와미는 헤일리를 "3인치 힐을 신은 딕 체니 전 부통령"이라고 표현했습니다.

또 민주당의 해리스 부통령과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처럼 성별을 부각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면서 민주당으로 소속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헤일리 전 대사는 평정심을 잃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모든 관심을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달 15일 시작되는 경선을 앞두고 헤일리 지지율이 의미 있는 상승세를 타자 다른 후보들과 지지자들의 공격 수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 등 미 언론은 헤일리가 공화당 후보로서 미국 최초 여성 대통령이 되기까지의 길은 멀고 험난하지만, 타 후보들과 지지자들의 성차별적인 공격이 도전이자 기회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첫 여성 주지사로서, 성공한 인도계 미국인으로서, 두 아이의 엄마로서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득점 포인트도 있지만, 트럼프 대세론을 흔들기엔 현실적으로 역부족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헤일리의 입지는 견고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동력을 잃지는 않고 있지만, 적어도 여론조사 결과로만 보면 실질적인 진전을 보여주기는 어렵다고 말하는 게 맞을 거 같습니다."

결국, 트럼프와 바이든의 리턴 매치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한편 트럼프 재집권 시 추구할 목표와 관련해 연상되는 단어로는 '복수 (revenge)', 즉 응징과 '독재 (dictatatorship)'로 조사됐습니다.

영국 여론조사 기관 JL 파트너스와 대중지 데일리 메일이 미국 유권자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인데, 바이든은 "없음 (nothing)"으로 나타났습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lcd@yna.co.kr)

#헤일리 #트럼프 #바이든 #미대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