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내부서 ‘한동훈 비대위’ 놓고 갑론을박

  • 5개월 전


■ 방송 : 채널A 뉴스A 라이브 (12시~13시 20분)
■ 방송일 : 2023년 12월 18일 (월요일)
■ 진행 : 이용환 앵커
■ 출연 : 류호정 정의당 의원,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 장윤미 민주당 총선기획단 위원, 조정훈 시대전환 의원

[이용환 앵커]
한동훈 장관의 이 비대위원장 카드를 두고 찬성을 하는 쪽이 있고 반대를 하는 쪽이 있는데 시청자 여러분들 대략 요약을 해보자면 이렇습니다. 이 표 한 장만 보시면 다 정리가 됩니다. 먼저 확장력. 한동훈 장관. 찬성론자는 한동훈 장관의 대중적 인기를 보세요. 중도 층까지 충분히 확장이 가능합니다. 반대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한동훈 장관은 보수층에서만 인기가 있어요. 확장력이 없어요. 당정 관계를 한 번 볼까요. 찬성하는 사람들은 당정 관계요. 한동훈 장관의 스타일을 한 번 보십시오. 윤석열 대통령의 미션만 받아 가고 움직이지는 않을 거예요. 할 말하는 여당을 만들 겁니다, 한 장관이. 반대하는 사람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아바타 논란.

대야 관계를 한 번 볼까요. 야당과의 관계. 아까 말씀드렸잖아요. 검사 vs 피의자. 이런 검사 vs 피고인. 이런 구도가 잡혀서 내년 4월 총선에서 여당 입장에서는 나쁘지 않아요. 반대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여야 관계가 더 아마 강대강으로 대치가 심화될 겁니다. 마지막으로 정치 경험. 한동훈 장관이 찬성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정치 경험이라는 것이 무엇이 그렇게 중요합니까. 무엇이 중한지. 선거판을 바꿀 카드가 분명히 될 거예요. 경험은 없지만. 반대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정치 초보예요. 앞으로 이 놓인 숙제들이 만만치 않을 겁니다. 제가 쭉 정리를 해드렸거든요. 시청자 여러분들, 대략 지금 구도가 이렇습니다. 찬성론자, 반대론자 그들의 주장은 저러한 것이죠. 글쎄요. 조정훈 의원님. 요약 좀 해주실까요, 어떻습니까?

[조정훈 시대전환 의원]
국민 여러분들께서 보시고 아까 정말 멋지게 요약한 저 한 표를 보시고 한동훈 장관이 비대위원장을 할 만한지 해도 좋을지 아마 판단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두 가지만 말씀드릴게요. 저는 국민의힘 바깥에서 특히 경쟁 관계에 있는 더불어민주당과 그 관계자들이 한동훈 장관을 비토 하는 것은 백 번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협적이니까요. 매일같이 한동훈 장관과 이재명 대표가 투 샷으로 잡히는 모습을 보면 하나는 정의를 실천하는 검사 출신의 비대위원장과 또 한 명은 일주일에 몇 번씩 재판정에 서야 되는 피의자로서의 모습. 국민들이 보시기에 너무 극적 대비가 되고요. 이재명 대표가 상징하는 586 운동권. 운동권 보다 더 못한 도덕성을 지닌 대표와 참신하고 신선한 비대위원장의 모습. 극적 대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치를 한 번도 아직 안 해봤다, 따라서 비대위원장 하기에 부적절하다는 것은 어찌 보면 여의도 문법을 너무 과하게 믿고 계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정치도 이제 바뀌어야 되고요. 현직 대통령도 지금 정치 경험이 미천하지만 바로 국민들의 선택을 받고 대선에서 당선이 되셨거든요. 그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한 가지 좀 걱정이 되는 건 (어떤 것이 걱정이세요?) 소위 국민의힘 내부에서 저는 의견의 일치가 아직은 다섯, 여섯 명의 빅 마우스들이 반대하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실은 당 대표하고 달리 비대위원장은 엄격하게 이야기하면 임명직입니다. 전 당원의 투표로 선출되는 선출직 당 대표가 아니라 구성원들이 동의해서 임명하는 임명직입니다. 따라서 비대위원장이 힘을 발휘하고 힘 있게 당을 이끌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큰 지지와 성원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지금 이 임명하는 과정에서부터 이해관계를 따져서 한동훈 장관 안 된다, 정치 경력 없다. 여러 가지 이유로 비토를 놓는 분들이 적지 않은 것 같은데. 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비대위원장이 되고 나면 아마 민주당과의 경쟁구도보다도 더 골머리를 썩을 것은 국민의힘 내부에서의 어떡하면 이제 일치를 이루어낼까 입니다. 오늘 오후에 있는 연석회의 등등을 통해서 끝장 토론을 통해서라도 하루 이틀 시간을 두더라도 한동훈 장관이 만약에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되면 정말 모든 분들이 동의하고 박수받는 과정에서 임명되어야 하지. 밀어붙이기 식으로 임명이 되면 부작용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지현 인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