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꼼수’ 물가 인상에…정부, 칼 빼들었다

  • 7개월 전


[앵커]
정부가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꼼수 가격 인상'을 정조준했습니다.

물가 상승에 따른 서민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회적 가격 인상 행태는 용납할 수 없는 소비자 기만행위라는 겁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주요 생필품 가격 실태 조사를 벌이고, 신고 센터도 열어 제보를 받기로 했습니다. 

유찬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식품업체들의 '꼼수 가격 인상'에 칼을 빼들었습니다.

기업들이 소비자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양을 줄여 우회적으로 가격을 올리는 '슈링크플레이션' 행태를 겨냥한 겁니다.

[김병환 / 기획재정부 1차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많습니다. 정직한 판매 행위가 아니며, 소비자 신뢰를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이를 중요한 문제로 엄중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대책의 초점은 어느 기업이 소비자들 몰래 가격 인상 효과를 봤는지 찾아 공개하겠다는 겁니다.

우선 정부는 이달 말까지 한국소비자원을 중심으로 주요 생필품에 대해 실태조사를 벌입니다.

소비자원 참가격 홈페이지에서 가격조사를 하고 있는 품목 가운데 중량이 표기된 70여개 품목이 대상이 됩니다.

다음주 중 신고센터도 마련해 소비자들에게 사례 제보도 받기로 했습니다.

참가격 홈페이지에 제품의 단위당 가격 변화를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지난 14일)]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양을 줄여서 팔 경우에 그것은 판매자의 설사 자율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소비자에게 정확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 소비자는 알 권리가 있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다만, 기업들이 제품 겉면에 중량과 가격 표시를 정확히 했다면, '꼼수 인상'을 했더라도 정부가 제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채널A 뉴스 유찬입니다.

영상편집: 변은민


유찬 기자 chanchan@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