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등 IPEF 14개국,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합의

  • 7개월 전
한미일 등 IPEF 14개국,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합의

[앵커]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IPEF(아이페프)에서 한미일을 비롯한 14개국 정상이 공급망·청정경제·공정경제 분야 협력에 합의했습니다.

특히 핵심광물 매장량을 지도로 만드는 등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특별 대화체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기자]

한미일을 비롯한 14개 국가 정상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IPEF 정상회의에서 만났습니다.

미국 주도로 구성된 IPEF는 인도·태평양 국가들이 글로벌 통상현안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협력체로, 지난해 5월 출범했습니다.

중국 주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의 대항마 성격으로, 미중 갈등 상황에서 사실상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협의체입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참여국들은 공급망·청정경제·공정경제 등 세 가지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지난 5월 타결돼 이번에 서명한 공급망 협정은 공급망 위기가 발생할 경우 15일 안에 정부간 고위급 협의체를 가동해 대체 공급처 확보 등 공동 대처에 나선다는 내용 등이 포함됐습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청정경제 협정과 반부패 실현을 위한 공정경제 협정도 맺었습니다.

정부는 아태 지역의 거대 경제권이 완성됐다고 설명했습니다.

"IPEF 회원국들은 전 세계 GDP의 40%, 전 세계 상품·서비스 무역의 28%를 차지합니다."

나아가 리튬과 니켈, 코발트 등 핵심광물을 안정적으로 수급하기 위한 'IPEF 핵심광물 대화체'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광물자원 매장량을 지도로 만들고, 광물회수와 재활용 확대를 위해 협력하자는 내용 등이 담겼습니다.

한편, 공급망 협정은 참여국들의 국내 절차를 거쳐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 중 발효될 것으로 보입니다.

청정·공정경제 협정은 내년 중에 발효될 전망이며, 이번에 타결하지 못한 무역협정은 추가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 (ju0@yna.co.kr)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 #IPEF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