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서울아파트 입주 1만 가구 턱걸이…전세값 자극 우려

  • 6개월 전
내년 서울아파트 입주 1만 가구 턱걸이…전세값 자극 우려

[앵커]

내년 서울아파트 입주 물량이 1만 가구를 겨우 넘는 등 통계 집계 이래 최저가 될 전망입니다.

주택 수요가 큰 서울의 공급난이 심하면 전셋값을 자극하는 등 임대차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박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부동산R114가 집계한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 921가구입니다.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0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3만 2천여가구가 입주한 올해와 비교하면 3분의 1수준으로 떨어집니다.

그나마 1만여 가구의 40% 가량이 강동구에 몰려 있고, 서초, 용산, 마포 양천 등 15개 자치구는 입주 물량이 아예 없습니다.

수도권 사정도 마찬가진데 내년 경기도와 인천의 입주 물량은 14만 7천 가구로 2016년 이후 처음 15만 가구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분양과 입주가 통상 3년 정도 차이나는 주택 시장 특성상 내년 입주 물량이 급감한 이유는 지난 2020년 분양 물량이 워낙 적었기 때문입니다.

지난 정부는 집값을 잡기 위해 재건축, 재개발 등 정비 사업을 규제했고, 2021년 2월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후엔 주택사업자들이 앞다퉈 분양을 미뤘습니다.

결국, 입주물량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월세 임대차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2023년과 달리 내년 물량이 1만 가구 수준으로 큰 폭으로 줄어들 예정이기 때문에 전세 가격 자극 요인이 될수있고 가격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더구나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주 0.21% 상승하는 등 최근 들어 가파르게 오르는 분위기여서 공급 부족은 전세 시장에 더 큰 타격이 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 (bako@yna.co.kr)

#입주물량 #서울_아파트 #전셋값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