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 재개방에 커진 강제북송 우려…국제사회 중단 촉구

  • 6개월 전
국경 재개방에 커진 강제북송 우려…국제사회 중단 촉구

[앵커]

북중 국경이 재개방되면서 탈북민 강제북송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연말 유엔총회에서 다뤄질 북한인권 결의안 내용에도 이런 우려가 반영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정부도 국제사회와 함께 연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9일 중국에서 탈북민 수백명이 북송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코로나 때 봉쇄됐던 북한 국경이 다시 개방되면서, 중국 정부가 탈북민을 대규모로 북송한 겁니다.

유엔총회에서 논의될 북한인권 결의안에는 이러한 최근 상황이 반영될 전망입니다.

결의안 초안에 '국경 간 이동 재개'라는 문구를 새롭게 넣어 '강제송환금지 원칙'을 강조한 점이 지난해와 비교해 대표적인 차이점입니다.

우리 정부도 유엔총회에서 진행 중인 협의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북한 주민의 참담하고 열악한 인권 상황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더욱 적극적으로 연대해나가도록 최선의 노력을…"

박진 외교부 장관은 탈북민 강제북송은 안 된다는 내용의 서신을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게 전달하는 등 주변국의 협조도 요청했습니다.

"정부는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이들이 강제북송되지 않고 본인들이 원하는 곳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갈 수 있도록 관련국에 협조를 요청해왔습니다."

정부는 중국의 추가 북송 가능성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난 건 없습니다."

강제북송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적 여론이 높지만, 중국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어서 추가 북송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 (ask@yna.co.kr)

#강제북송 #인권결의안 #유엔총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