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인터뷰] 20~30대 고혈압 환자 급증…이유와 예방법은?

  • 8개월 전
[출근길 인터뷰] 20~30대 고혈압 환자 급증…이유와 예방법은?

고혈압,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요즘엔 2030 젊은 층 고혈압 환자들도 늘고 있다고 합니다.

젊은 층까지 안심하기 어렵게 된 이유는 무엇이고, 또 어떻게 예방하는 게 좋을지 뉴스캐스터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민재 캐스터!

[캐스터] 출근길 인터뷰입니다. 오늘은 이지은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지은 / 고려대구로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안녕하세요.

[캐스터] 가장 먼저 고혈압이 어떤 질병인지부터 간단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이지은 / 고려대구로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고혈압은 전 세계적 질환 유병률 1위의 질환입니다.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인 심장질환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기도 합니다. 전 세계 인구의 1/3이 고혈압 환자이지만 그중 1/3은 본인이 고혈압인지를 모르고 있는 상태이고 그중의 1/3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고혈압은 혈관에 압력이 높은 상태를 말하며, 따라서 혈관이 지나가는 모든 장기, 특히 눈이나 뇌, 심장, 콩팥에 뇌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협심증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

[캐스터] 중년의 병이라고 불리는 고혈압이 요새는 젊은 층을 위협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어떻게 될까요?

[이지은 / 고려대구로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우리나라 2017년 고혈압 유병률은 27%에 해당하고 그중 30대의 고혈압 환자도 11%에 해당합니다. 2021년 20~30대에서 고혈압 환자는 25만 명인 걸로 확인이 되었는데, 이는 4년 전에 비해서 30% 정도 증가한 상황입니다. 20~30대는 활발한 경제활동으로부터 오는 과로와 스트레스 그리고 부적절하게 흡연과 음주를 많이 하는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과 이로 인한 비만이 원인이 될 수 있겠으며 또한 이런 젊은 층의 고혈압이 더 문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젊은 환자분들은 혈압이 높아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가 있어 혈압이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 심장, 혈관질환과 사망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좀 문제가 될 수 있겠습니다.

[캐스터] 그렇다면 고혈압의 증상은 어떻게 될까요?

[이지은 / 고려대구로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고혈압은 보통 혈압이 높아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만약에 간헐적인 두통이나 어지럼증, 호흡곤란,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있다면 이는 고혈압 자체에 의한 증상이라기보다는 고혈압에 의한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으로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만약에 증상이 없다고 해서 혈압이 높은 채로 방치하게 된다면 앞서 말씀드렸던 뇌경색이나 뇌출혈, 심장질환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서 이런 합병증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겠습니다.

[캐스터] 그렇다면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약을 무조건 복용해야 하는 걸까요?

[이지은 / 고려대구로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우리나라 환자분들 중에 20~30대 고혈압 환자 약 125만 명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 중에 1/5만 본인이 고혈압인 것을 인지하고 이 중에 1/5은 고혈압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십니다. 만약에 혈압이 증상이 없다고 해서 높은 채로 방치하게 된다면 심장벽이 두꺼워지고 심장이 커지게 되며 심장 기능이 떨어지는 심부전뿐만 아니고 협심증, 심근경색 또 대동맥이 찢어지게 되는 대동맥박리증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과 급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에 정기적으로 내원하셔서 본인의 혈압 상태를 체크하시고 본인의 혈압 수준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만약 건강한 생활습관이나 체중 감량과 같은 생활습관 개선으로만 혈압을 조절하려고 하시는 경우에는 굉장히 제한적인 효과만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 상담을 통해서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캐스터] 마지막으로 고혈압을 어떻게 치료해야 하고 예방해야 하는지 한말씀 해주시죠.

[이지은 / 고려대구로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혈압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우선 정기적으로 병원에 내원하셔서 본인의 혈압을 정확히 체크해서 본인의 혈압 상태로 확인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겠습니다. 근데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혈압약을 정확히 드시면서 적정 수준으로 혈압을 유지해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겠으며 또 생활습관 교정이 같이 병행이 돼야겠습니다. 흡연은 혈압을 높일 뿐 아니라 심장, 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반드시 금연하셔야겠으며 과도한 음주도 혈압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절주하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과도하게 짠 음식이나 너무 단 음식,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또 산책이나 조깅,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루 30분 이상, 일주일에 5번 이상 하시는 것도 체중 감량 및 혈압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캐스터]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