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원인 명명백백 밝혀야…지하차도 참사 수사 속도

  • 11개월 전
참사원인 명명백백 밝혀야…지하차도 참사 수사 속도
[뉴스리뷰]

[앵커]

14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를 두고 예견된 인재였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경찰의 수사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경찰은 일각에서 '셀프 수사' 비판이 제기되자 수사본부도 전격 교체했습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순식간에 무너졌던 제방이 다시 세워져 있습니다.

사후약방문 마냥 커다란 모래 포대가 차곡차곡 쌓여있고, 임시로 세워놓은 둑에는 방수포가 덮여 있습니다.

14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참사의 원인으로 지목된 장소입니다.

이번 참사를 수사하고 있는 수사본부는 시작점을 이곳 제방으로 잡았습니다.

수사본부는 가장 먼저 지난 17일 제방에 대한 감식을 실시했고, 20일에는 2차 감식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2차 감식에서는 미호강 제방에 대해 제방 월류 붕괴 원인을 밝히기 위해 3D 스캔으로 현장을 재구성해 볼 계획입니다.

"(1차 감식) 그때는 높이나 그런 걸 실측을 했던 거고 (2차 감식은) 제방의 높이나 그런 게 설계 도면대로 됐는지 구조는 정확한지…"

이와 동시에 지하차도 내 감식도 진행됩니다.

배수펌프와 배수로가 제대로 작동됐는지, 지하차도가 설계 도면에 맞게 설계됐는지 등을 따져보고, 침수가 발생한 경위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또 참사 당시 침수됐던 차량에서 블랙박스 17대를 확보해 분석하고 있고, 유류품 검색 과정에서 발견된 휴대전화 3점도 디지털 포렌식에 들어갔습니다.

이와 더불어 목격자와 구조자 등 15명에 대한 참고인 조사도 실시했습니다.

참사 당시 통제 상황에 대한 수사를 위해 충청북도와 청주시 등으로부터는 재난 대비 매뉴얼과 근무자 명단 등 자료를 임의제출 방식으로 요청하고, 제출된 자료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강제수사에 나서겠다는 방침입니다.

한편, 경찰은 참사 당시 부실 대응 의혹을 받고 있는 충북경찰청이 진상 규명을 책임질 수사본부를 맡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수사본부를 전격 교체했습니다.

경찰은 김병찬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장을 본부장으로 서울청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들을 수사본부에 파견키로 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 (jinle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