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윤리특위 정상화 합의…'김남국 징계' 수순 밟나

  • 작년
국회 윤리특위 정상화 합의…'김남국 징계' 수순 밟나
[뉴스리뷰]

[앵커]

식물 상태나 마찬가지였던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정상화할 전망입니다.

특위 운영에 필요한 인선 안건을 처리키로 한 건데, 특위 구성과 맞물려 김남국 의원에 대한 징계 논의가 가속화할지 주목됩니다.

이다현 기자입니다.

[기자]

공회전하고 있던 국회 윤리특위가 인적 구성을 마치고 정상화합니다.

윤리특위 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의원과 여야 간사 내정자들이 회동해 양당 간사와 소위 위원장 선임 안건을 처리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선임 의결을 거쳐야 돼서 간사가 되는 것이고, 그때 간사가 돼야지만이 정식으로 양당 간 대표로서 안건을 협의하거나…."

윤리특위의 우선 안건으로는 '코인 논란'에 휩싸인 김남국 의원의 징계 문제가 다뤄질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여야 공동징계안을 제안하며 적극적 태도를 보였습니다.

징계안에 대해 20일간 숙려기간이 필요하지만, 여야가 함께 징계안을 낼 경우 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공동 징계안을 오늘 중으로 발의할 경우에 내일 전체회의에서 바로 김남국 의원 건을 처리할 수가 있습니다."

민주당은 일단 자체 진상조사단의 조사 결과 등 여러 진행 상황을 살펴보겠다는 입장.

하지만 당내에서조차 윤리특위 제소 의견이 분출하는 상황에서 마냥 미루는 건 당 지도부에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국회 차원의 징계, 윤리위 제소. 이거를 국민들이 다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이걸 회피를 못합니다. 그런데 왜 끌려가면서 하냐 이거예요."

김 의원에게 내려질 수 있는 징계는 공개회의에서의 경고, 공개회의에서의 사과, 30일 이내의 출석정지와 제명이 있습니다.

한편 국민의힘 TF인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은 첫 회의를 열고 김남국 의원의 이중성과 이해충돌 문제 등을 거론하며 압박했습니다.

TF 단장인 김성원 의원은 공직자 재산등록 대상에 가상자산을 포함시키고 거래내역 신고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공직자윤리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다현입니다. (o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