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만난 ‘빌라왕 사건’ 피해자…“센터 80번 전화해도 불통”

  • 작년


[앵커]
천 세대가 넘는 임대를 하다 갑자기 사망한 ‘빌라왕’의 전세 사기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가 열렸습니다.

전세금 2억 이상 피해자만 195명에 달하는데요.

원희룡 국토부 장관도 참석했는데, 정부의 무성의한 대응에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안건우 기자입니다.

[기자]
'빌라왕 사건' 피해자들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났습니다.

대부분 가진 돈이 많지 않고 관련 법도 잘 모르는 2030 청년들.

[A씨 / '빌라왕 사건' 피해자]
"이번에 전세 계약한 거 저 처음이에요. (법률 용어) 대다수가 처음 들어보고 처음 접해볼 거예요."

기댈 곳은 정부뿐인데 전화 한 번 하기가 어려웠습니다.

[B씨 / '빌라왕 사건' 피해자]
"(HUG 주택도시보증) 관리센터 통화한 분들 계셨어요? 아무도 안 됩니다. 하루에 전화 80통 넣고 있습니다. 단 한 번도 연락된 적이 없습니다."

정부가 임시 거처를 지원해준다지만 더 급한 건 묶여버린 보증금.

[배소현 / '빌라왕 사건' 피해자 측 대표]
"거주 중인 집 (전세) 대출이자 계속 납부해야 하는 상항인데. 저희 요구는 반환 보증보험이 빠르게 이뤄지는 것이고."

숨진 빌라왕 김모 씨의 가족이 상속을 포기해야 다음 절차가 빨리 진행되는데

문제는 피해자 개개인이 주소도 모르는 김 씨 가족들에게 일일이 의사를 물어봐야 한다는 겁니다.

[C씨 / '빌라왕 사건' 피해자]
"현재 상속인 전원에게 내용 증명 도달해야 하고, 나는 (빌라왕) 그 사람 집 주소와 주민번호밖에 모르는데."

정부는 기존 절차를 바꿔서라도 보증금 반환을 최대한 앞당기고 보험 미가입자들에겐 가구당 최대 1억 6천만 원을 연 1%의 저금리로 대출해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원희룡 / 국토교통부 장관]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커진 다음에야 HUG와 국토교통부도 구체적 대응에 나서는 것도 미안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법적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실제 지원으로 이어지기까진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

영상취재: 이성훈
영상편집: 차태윤


안건우 기자 srv1954@ichannela.com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