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효과 한정적…적시치료는 국가 책임"

  • 2년 전
"거리두기 효과 한정적…적시치료는 국가 책임"
[뉴스리뷰]

[앵커]

코로나19 재유행 상황을 놓고 정부가 전문가들과 함께 국민 질의에 대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국민들이 가장 궁금해 한 건 '자율방역'이었는데요.

방역정책을 국민 자율에만 맡기는 게 과학적인지, 국가 책임은 없는 건지 의문이 빗발쳤습니다.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자율방역'의 과학적 근거를 설명하기 앞서, 정부는 방역 패러다임의 전환을 언급했습니다.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였던 오미크론 대유행 전과는 달리, 전파력이 강한 변이의 출현으로 확산 저지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겁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어느 정도의 확산은 용인하되, 중증화와 사망 피해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목표를 바꿨습니다.

지속적으로 거론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서는 그 효과는 한정적인 반면, 사회·경제적 피해는 적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등장한 시점부터는 (거리두기가) 실제로 유행 규모를 크게 줄이거나 유행의 정점을 뒤로 미루는 데는 한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정도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심각한 손실, 아이들의 학력 손실 같은 것들을 감당해야 하는가…"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습니다.

마스크를 백신과 함께 "중요한 무기"라고 강조했는데, 백신이 미처 방어하지 못한 부분을 마스크가 채워준다는 겁니다.

국민들이 자율 방역을 지키는 동안 의료 역량을 확보해 국민들이 제때에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건 국가의 책임이라고 했습니다.

정부는 먹는 치료제의 처방률을 높이고 백신의 안전성을 꾸준히 설득하는 한편, 아프면 쉴 수 있는 여건의 조성에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설명회에서는 다인실 위주의 병원시설, 관련 전문의 부족 등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장기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코로나19 #자율방역 #거리두기 #방역_패러다임 #장기대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