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대립'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쟁점은?

  • 2년 전
'극한대립'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쟁점은?

[앵커]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의 최대 쟁점은 임금인상의 폭입니다.

노조원들은 5년 전 조선업 불황 속에 삭감됐던 임금을 원상회복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는데요.

접점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준삼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파업 사태의 근원은 조선 업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았던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대우조선을 비롯한 이른바 조선 '빅3'가 감원과 임금삭감 등 자구안 마련에 나섰고, 그 과정에서 원청은 물론 하청업체 노동자들 임금도 크게 삭감됐습니다.

하청노조에 따르면, 10년 넘게 조선소에서 일해온 노동자의 한 해 임금은 당시와 비교해 수천만원씩 줄었습니다.

노조 측은 최근 조선업계의 유례없는 수주 호황과 물가상승 등을 거론하며 지난 5년간 30% 하락한 임금의 원상회복과 전임자 노조활동 인정 등을 요구해왔습니다.

반면, 하청 업체들은 2010년대 호황기 고점을 기준으로 한 '임금 원상회복' 요구는 현실성이 없다고 보고 있어 협상은 줄곧 평행선을 달렸습니다.

특히 지난 4~5월 대부분의 하청 직원들과는 5~7% 수준의 임금인상 근로계약을 끝마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청노조 조합원은 350여 명 수준으로 이는 대우조선 전체 협력사 직원의 3% 수준입니다.

최근 재개된 협상에선 노조가 임금인상 요구폭을 대폭 낮춘 것으로 알려졌지만, 임금 일괄 적용과 개별 적용 입장 등이 맞서 있어 타협점을 찾는 게 여전히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노조는 원청인 대우조선해양과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직접 나설 것을 촉구해왔지만, 대우조선은 하청의 근로조건에 개입할 수 없다며 선을 긋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 (jslee@ymna.co.kr)

#산업은행 #대우조선해양 #임금인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