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집무실 이전 계획 무리"…"靑 개방 반드시 이행"

  • 2년 전
[뉴스프라임] "집무실 이전 계획 무리"…"靑 개방 반드시 이행"

■ 방송 : 2022년 3월 21일(월)
■ 진행 : 성승환, 강다은 앵커
■ 출연 : 이혜훈 전 국회의원,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

시작하겠습니다.

국민의힘 이혜훈 전 의원,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 나오셨습니다.

청와대가 윤석열 당선인의 취임 전 집무실 이전 계획에 사실상 제동을 걸었습니다. 안보 공백 우려를 가장 큰 이유로 들었어요? 집무실 이전 관련 비용인 정부 예비비는 내일 국무회의에 상정이 어려울 것 같은데요?

"임기가 끝나는 마지막 날까지 국가안보와 군 통수는 현 대통령의 책무이다" "국방부와 합참 관련기관 등은 마지막 순간까지 임무에 임해주길 바란다" 이 메시지는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취임 전 이전은 문재인 정부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한데 청와대 발표를 보면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린다는 뜻에 공감한다, 필요한 협의를 충분히 거쳐 최종 입장을 정하겠다고 했어요. 이전 자체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 건데, 결국 회동이 중요해진 것 같아요?

가뜩이나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과 인사권 등 회동 테이블에 오를 의제들의 무게감이 작지 않았는데, 회동 성사가 더 쉽지 않게 된 것 아닙니까?

새 정부 출범 전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가 통합과 협치의 시험대가 된 모습입니다. 신구 권력 갈등에 민생은 또 뒷전으로 밀리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큽니다. 최 수석님은 윤 당선인 측에, 이 의원님은 현 정부와 민주당에 각각 조언을 해주신다면요?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두고 민심도 나뉘었습니다. 찬성 여론도 있지만 '혈세 낭비'라며 반대하는 국민 청원이 30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반대 여론도 거센데요?

윤 당선인이 청와대 집무실 용산 이전을 공식화하면서 비용 및 안보 공백 우려 등을 놓고도 공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비용을 두고는 496억 원과 1조 원으로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1조원 주장은 광우병 사태가 생각이 날 정도로 부풀려 선동한다고 비난했는데요? 윤 당선인 측이 제시한 496억 원에는 집무실 이전에 따른 비용만 반영됐고, 국방부와 합참 등의 '연쇄 이전'에 들어가는 비용 등은 고려되지 않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