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읽기] 서울 아파트 수급지수 상승…규제 완화 기대감?

  • 2년 전
[경제읽기] 서울 아파트 수급지수 상승…규제 완화 기대감?


대선 이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아파트 매매시장에선 꺾였던 수요가 조금씩 반등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는데요.

부동산 시장 변화, 박연미 경제평론가와 함께 점검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직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태이긴 하지만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조금씩 오르고 있습니다. 일부 집주인들은 매물을 거둬들이는 모습을 보이고도 있는데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걸까요?

서울뿐만 아니라 부산 경남 전북 등지에서도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서울과 수도권 전세 시장은 보합세를 보였는데 시장 상황, 어떻게 진단하십니까?

새 정부 출범 이후 좁아진 대출 문이 넓어질지도 관심이었는데요. 윤석열 당선인 공약에 따라 주택담보대출비율, LTV가 대폭 완화될 전망입니다. 완화 정도는 어떻게 예상되나요?

시장의 관심은 LTV와 함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인 DSR 규제도 완화될지 여부에 쏠리고 있습니다. LTV가 완화되더라도 DSR 규제가 현행대로 유지된다면 저소득자의 대출 문턱은 여전히 높을 수밖에 없지 않나요? 하지만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신경 써야 하는 정부가 무작정 DSR 규제를 풀긴 어려울 것도 같은데요?

윤석열 당선인표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은 언제쯤 현실화될까요? 새 정부 출범 후 부동산 정책들이 본격 시행됐을 때 집값 반응은 어떨지도 궁금한데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전망하세요?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한 달 전 3%에서 0.3%포인트 낮춘 2.7%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G20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4.3%에서 3.6%로 낮췄는데 역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가 컸던 걸까요?

무디스는 우리나라가 반도체 핵심 소재 확보에 차질을 겪고 자동차 등 첨단 제품 제조에도 여파가 있을 거라며 공급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또 유가의 강세도 부담이 될 거라고도 내다봤는데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