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러 수출 통제 동참…피해기업 2조원 긴급금융지원

  • 2년 전
대러 수출 통제 동참…피해기업 2조원 긴급금융지원
[뉴스리뷰]

[앵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미국 등 국제사회가 시작한 경제 제재에 우리 정부도 동참합니다.

핵심은 수출 통제인데, 전쟁 물자 수출을 막는 게 목적이지만 기업들의 피해는 불가피합니다.

정부는 이들 기업에 최대 2조원의 긴급금융지원을 하기로 했습니다.

조성미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등 국제사회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단행한 러시아에 첨단제품 수출 통제를 포함한 제재안을 발표하자, 우리 정부도 동참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함께하겠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러시아에 수출하던 기업들은 판로가 막히게 되는 건데, 대표적 제재 대상은 반도체와 반도체가 들어간 전자제품입니다.

지난해 우리가 러시아에 수출한 반도체는 885억원 어치로 전체 반도체 수출의 0.06%에 불과하지만, 다른 전자제품도 수출이 제한되면 반도체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반도체가 들어간 자동차 수출도 제한될 수 있는데, 러시아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약 30%로 1위입니다.

정부는 피해를 보게 될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2조원의 긴급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또, 미국이 러시아 주요 은행들에 시작한 금융제재가 우리 경제에 미칠 여파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다만, 러시아 경제의 핵심인 에너지기업 제재나 국제금융결제망, SWIFT 퇴출 등 핵심 제재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어서,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아직까진 제한적으로 평가됩니다.

한편, 정부는 최근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제안한 동맹·우방국 중심의 경제협력틀 '인도-태평양 다자 경제프레임워크'의 가입 논의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수출제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