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플러스] 카카오 택시…플랫폼 이슈 블랙홀되나?

  • 3년 전
◀ 앵커 ▶

카카오가 최근 연일 논란의 중심에 서고 있습니다.

10년 전, 전국민 무료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앞세워 당시 거대 통신사와 맞서 싸우며 많은 지지속에 등장했었는데요,

지금은 모바일 쇼핑에, 은행 업무에, 택시와 대리기사까지 전방위로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는데, 이용자의 불만도 늘어가고 있습니다.

오늘 +NOW에서는 국민 어플 카카오에 왜 이용자들의 불만이 쌓여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광고 ##+NOW시작합니다.

오늘은 행복자산관리연구소 김현우 소장과 함께 합니다.

안녕하세요.

◀ 김현우/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안녕하세요.

◀ 앵커 ▶

요즘 정말 하루를 카카오로 시작해 카카오로 끝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우리 일상에 카카오 관련 서비스가 관여되지 않은 곳이 없는 거 같아요.

◀ 김현우/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아침에 문자메시지로 안부를 시작해서요, 택시 호출이나 자전거를 빌려 타서 이동하고

뉴스나 화제가 된 영상을 검색하거나 주식투자나 각종 송금이나 결제도 하고요, 또 메신저로 친구 생일 선물도 하고,

카카오로 할 수 없는 게 뭔지를 찾는 게 더 빠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돕니다.

최근엔 방송가 초특급 진행자로 꼽히는 유재석 씨를 영입할 정도로 문화·미디어업계로도 빠르게 확장 중인데, 웹툰이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물론 자체 예능프로그램 제작까지 나섰는데, 스크린골프에 영어교육까지 계열사만 100개가 넘고요, 시가 총액은 현대차그룹에 이어 재계 5위입니다.

개인 재산도 창업자인 김범수 의장이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을 넘어섰으니까 카카오의 영향력이 얼마나 커졌는지 짐작되실 겁니다.

◀ 앵커 ▶

계열사만 100개가 넘는다…

서비스 이용이 편리하니 사용자가 늘고 그러다 보니 사업영역도 넓혀가고 그랬을 텐데, 요즘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런 분석이 나오는 배경은 뭔가요?

◀ 김현우/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간단하게 말하면 유료화 정책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고객을 모으려고 무료나 거의 공짜로 하던 서비스를 유료화하거나 기존 요금을 조금씩 올리는 거죠.

최근 가장 논란이 됐던 게 카카오 모빌리티의 스마트호출 서비스인데요.

이것도 2015년 처음 시작할 땐, 이용 요금이 무료라며 택시 고객을 끌어모았거든요,

손님이 늘면서 가맹 택시도 늘었고 지금은 택시 호출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해서 독과점하다시피 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갑자기 이달부터 일부 택시 호출비용을 기존 1천 원에서 최대 5천 원까지 내는 이른바 '스마트 탄력요금제'를 도입하려다 소비자들의 원성을 산 겁니다.

◀ 앵커 ▶

결국, 철회는 됐죠.

그런데 이런 서비스, 배차를 좀 빨리 받으려는 서비스는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거잖아요,

이걸 안 쓰면 그만일 텐데, 왜 택시요금 인상 얘기가 나오는 거죠?

◀ 김현우/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유료 서비스 선택권이 소비자에게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 시스템적으로 보면 그렇게 되지 않을 거라는 우려가 컸기 때문입니다.

택시가 가장 필요한 시간, 출퇴근이나 식당들이 문을 닫는 심야시간, 너도나도 빨리 택시 잡으려고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거란 거죠.

그런데 이게 최대 5천 원이니까, 기본요금까지 더하면 '택시를 타기만 해도 8천 원이 나온다'는 불만이 터져나온 겁니다.

유료 호출에 택시를 우선 배정해주다 보면 일반 택시 호출로는 당연히 택시를 잡기 어려울 꺼 구요, 그러면 어느새 비싼 택시 요금이 정착될 거라는 소비자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컸던 겁니다.

◀ 앵커 ▶

택시 업계의 반발도 컸던데, 업계의 택시요금 인상 우려는 어떤 이유에서죠?

◀ 김현우/행복자산관리연구소 소장 ▶

보는 시각이 조금 다른데, 택시 업계에선 앞으로 택시 요금을 올릴 수 없게 될 거란 우려로 반발했던 건데요,

유료 서비스를 쓰는 손님이 늘다 보면 경험치 상으로 손님들은 비싼 택시요금을 체감하게 되잖아요.

그런데 이 서비스 이용료는 택시 회사나 기사에게 가는 게 아니라 카카오 측으로 가는 돈이거든요.

정작 택시업계가 정부와 요금 인상을 협상하려고 할 때, 이미 국민 여론은 택시 요금이 많이 올랐다며 반대할 거란 거죠.

그러면 전반적인 손님 감소나 연료 값 상승 등으로 요금 인상이 필요한 택시 업계?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