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아닌 성노예"…유족들, 용어변경 촉구

  • 3년 전
"일본군 위안부 아닌 성노예"…유족들, 용어변경 촉구

[앵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유족들이 위안부는 가해 사실을 부정하는 일본 우익이 만들어낸 용어라며 성노예로 표현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피해 사실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성노예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겁니다.

보도에 강창구 기자입니다.

[기자]

겁먹은 얼굴의 어린 소녀가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갑니다.

열일곱 꽃다운 나이에 성노예로 고통받은 고 김순덕 할머니가 그린 자화상입니다.

김 할머니는 타계할 때까지 매주 수요집회에 참석해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는 활동을 펼쳤습니다.

김 할머니의 아들 등 유족들이 일본군 위안부란 표현은 명백히 잘못된 것이라며 시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위안부란 표현은 가해 사실을 부정하는 일본 우익이 만들어낸 용어라며 피해자 중심의 성노예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피해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해 사실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로 용어변경을 강력하게 요구합니다."

마크 램지어 하버드 교수와 국내 일부 학자들이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에 대한 망언과 망발을 이어가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법적 대응의 필요성도 제기됐습니다.

"표현의 자유도 중요하지만, 피해자들의 인권과 존엄이 더욱 중요한 만큼 역사 왜곡과 망언을 예방할 수 있는 처벌법이 반드시 필요…"

현재 국내에 신고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는 모두 240명, 이 중 15명만 생존해 있습니다.

유족과 시민단체는 가해자가 만든 위안부란 표현 대신 성노예로 바꾸도록 정부에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강창구입니다. (kcg33169@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