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 없는 공급대책…우선 서울역 쪽방촌 공공개발

  • 3년 전
입지 없는 공급대책…우선 서울역 쪽방촌 공공개발

[앵커]

이번 정부 최대 규모의 주택 공급 대책이 어제(4일) 발표됐지만, 아직 풀어야 할 게 많습니다.

특히 서울에 32만 가구를 짓겠다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디에 얼마나 지을지 아직은 알 수가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일단 쪽방촌이 있는 서울역 인근에 고층 아파트 단지를 짓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동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대표적인 쪽방 밀집 지역인 서울 용산구 동자동입니다.

남산 산책로와 가깝고 걸어서 5분이면 서울역을 갈 수 있는 빼어난 입지지만 주민 이주 대책이 부족해 번번이 개발이 무산된 곳입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이곳에 임대주택 1,200여 가구를 포함한 2,400여 세대 아파트 단지를 짓기로 했습니다.

LH와 SH가 신속히 사업을 이끌어 최고 40층 높이 17개 동을 지어 2026년부터 입주를 시작한다는 계획입니다.

"누구도 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를 공공부문이 선도해서 개발하고 거기 계신 분들이 훨씬 넓은 집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쾌적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겠다…"

정부는 사업지구에 편입되는 땅에 보상금을 지급할 계획이지만 아직 소유주들의 동의를 완전히 끌어낸 상태는 아닙니다.

"그동안 소통을 많이 못 했는데 사시는 분들하고 여러 단체하고 해서 수시로 만나서 이야기하고 (개발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수익성을 둘러싼 지주와의 갈등 가능성 없지 않다는 건데, 이번에 발표된 주택 공급대책을 놓고 시장이 의구심을 보이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정부는 서울에 공급되는 주택 물량을 32만 가구로 집계했지만, 아직 어디에 주택이 공급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결국 민간의 협조를 끌어내지 못하면 공급계획은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