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한미동맹 강화" 한목소리…대북 해법엔 시각차

  • 4년 전
여야 "한미동맹 강화" 한목소리…대북 해법엔 시각차

[앵커]

정치권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게 일제히 축하와 환영의 뜻을 밝혔는데요.

여야는 한미 동맹 강화를 한 목소리로 강조하면서도 북한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해선 온도 차를 드러냈습니다.

국회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방현덕 기자, 일단 여당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국내 정치인 중 가장 먼저 축하 메시지를 냈는데요.

"미국민이 풍부한 경륜과 민주적 리더십, 통합과 포용의 신념에 신뢰와 지지를 보냈다"며 "바이든 대통령 시대에 한미동맹이 더 굳건해질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재가동되고, 항구적 평화의 전기가 조속히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공화당에서 민주당으로 바뀌며 미국의 대북 기조에 변화를 예상하는 시각이 많지만,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한미 공조는 흔들려선 안 된다고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유력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페이스북에 축사 인사를 남겼는데, 최우선 과제는 개성공단 재개 선언과 한미연합훈련 연기를 통한 남북대화 복원이라며, 새롭게 시작하는 바이든 행정부도 평화 정착과 비핵화가 선순환 관계임을 인지하고 협력할 걸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은 의견이 달랐을 것 같은데요, 야당 반응도 소개해주시죠.

[기자]

네. 일단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미국의 국제사회에서의 리더 역할이 강화되길 바란다"며 축하의 뜻을 먼저 표했습니다.

또 한미 양국이 지난 70년간 '강력한 동맹관계'였다며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자고 했습니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한미는 '혈맹' 사이라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분명한 성과를 내달라"고 말했는데, 북한에 대한 유화적 조치에 앞서 비핵화가 우선돼야 한다는 보수 야당의 주장을 바이든 행정부에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대권 주자로 꼽히는 유승민 전 의원은 한발 더 나아가서, 바이든 정부하에서는 북한에 끌려다니며 핵무장 시간만 벌어주는 현 정권의 '가짜 평화쇼'가 더는 용인되지 않을 거라며, 문재인 정부에 한반도 비핵화 전력과 한미 동맹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