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와이드] 신규 확진자 61명…곳곳 집단 감염 여파 계속

  • 4년 전
[일요와이드] 신규 확진자 61명…곳곳 집단 감염 여파 계속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어제 61명 발생해, 일일 확진자 수는 이틀 연속 두 자릿수를 유지했습니다.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했다는 신고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최근 사망 사례를 분석한 결과 백신과 관련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님 모시고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국내 확진자 수가 61명 늘었습니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보면 국내 지역발생이 50명, 해외유입 사례가 11명입니다. 10월 들어 확진자 수가 연일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원인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특히 요양시설, 재활병원 등을 중심으로 집단감염 여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경기 군포시 의료기관 및 안양시 요양시설, 경기 광주시 SRC재활병원과 남양주시 행복해요양원 관련해서도 추가 확진자가 또 나왔습니다. 정부의 잇단 대책에도 좀처럼 집단감염이 수그러들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경기 여주시의 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 확진자는 총 26명으로 늘었습니다. 라파엘의 집 입소자 1명이 어제 확진 판정을 받은 뒤 24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은 건데요. 해당 확진자들 중증 장애인으로 대부분이 현실적으로 1인 격리가 쉽지 않은 상황인데 추가 감염 가능성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가족과 지인 모임 등을 매개로 한 집단감염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서울 구로구의 한 일가족과 관련해선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27명으로 늘었습니다. 이번 감염 사례, 경기 부천 무용학원 감염 사례와 연관성이 확인됐죠?

방역 당국은 학원 강사가 최초로 감염된 뒤 무용학원 초등생 수강생들까지 연이어 감염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마스크를 쓰고 수업을 진행했다지만, 몸의 움직임이 많은 무용학원 특성상 다양한 감염 경로가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보세요?

서울 성북구 351번째 확진자의 동선이 공개됐는데, 확진 판정을 받기 전 제주도를 방문했을 당시 13명 밀접 접촉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A 씨의 접촉자 중 지인과 가족 등 2명은 최종 음성판정이 나왔지만, 혹여 지역 확산의 불씨가 될지도 걱정인데요?

정부가 독감 백신을 접종한 뒤 사망했다는 신고 사례가 잇따르자 접종 중단 여부를 논의했지만, 백신 접종을 지속하겠다고 방침을 정했습니다. 사망 사례와 백신 간 인과성이 매우 낮다고 보기 때문인데, 그렇다면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은 왜 나오는 건가요?

이에 따라 정세균 국무총리는 만 62세부터 69세 어르신에 대한 접종을 내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방역 당국은 현재로서 득과 실을 따져볼 때 고위험군은 독감 백신을 맞는 것이 좋다고 말하는데, 이건 왜 그런 건가요?

앞선 사망자와 똑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나 고령자의 경우 접종을 망설이는 경우도 많은데요. 보다 안전한 예방접종 실시 방안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접종자는 어떤 점을 특히 주의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