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박창근 교수 "4대강 사업 홍수 예방 효과?...오히려 보가 위험 키워" / YTN

  • 4년 전
■ 진행 : 변상욱 앵커
■ 출연 : 박창근 /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집중호우 피해에 과연 이명박 정부 때 실시된 4대강 사업, 그리고 4대강 사업 때 설치된 4대강의 보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가에 대한 논란 계속해서 박창근 교수를 연결해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박 교수님, 잘 들리십니까?

[박창근]
안녕하십니까. 잘 들립니다.


집중호우에 태풍까지 상륙해서 비 피해 소식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번 장마 피해가 특히 보가 무너지거나 제방들이 무너진 피해가 커진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박창근]
일단 사상 유례가 없는 긴 장마가 지속됐거든요. 보통 7월 말이면 장마가 끝나는데 8월 10일까지도 장마 또는 태풍이 연결되면서 많은 강수량이 있었고 그러다 보니까 홍수 피해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됐는데 예년과는 완전히 다른 장마 피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 경우에 이때 중국과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지금 훨씬 더 많은 피해를 입었거든요. 물론 우리나라가 적게 피해를 입었다고 해서 다행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그래서 장마전선이 중국과 일본에서 많이 멈추는 바람에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비가 적게 왔습니다마는 장마 막판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됩니다.


여당과 보수야당으로 나뉘어서 이명박 정부 때의 4대강 사업이 도움이 됐다, 아니다. 그것 때문에 더 홍수 피해가 커졌다, 지금 논란을 계속 벌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니까 4대강 사업이 이루어진 강에서도 피해가 발생하고 아닌 강에서도 피해가 발생하고 하니까 판단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교수님 보시기에는 어떻습니까?

[박창근]
일단 섬진강 상황을 보면 섬진강 제방이 붕괴된 지점은 섬진강 비교적 상류 지역에 속한 남원 지역이거든요. 그래서 이 제방 붕괴가 섬진강에 물이 많아서 제방을 넘는, 즉 원류해서 제방 붕괴가 일어났느냐, 아니면 원류가 되지 않고 일정 부분 풍수해가 증가됐는데 제방이 모래제방이었거든요. 모래제방을 치고 나가면서 하천이 범람됐느냐? 이 둘 중에서 섬진강은 후자가 됩니다. 원류로 인해서 붕괴가 안 됐거든요. 원류에 의해서 붕괴가 안 됐다 그러면 이거는 4대강 사업과 상관없이 진행된 것이고, 그리고 섬진강에서 제방 붕괴는 제방을 유지...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0810193808946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