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장 2차 가해" vs "추모 우선"…공방 거듭

  • 4년 전
◀ 앵커 ▶

박원순 시장의 죽음 이후 지금까지도, 박 시장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냐, 또 그를 어떻게 보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야권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장이 성추행 피해를 호소한 고소인에 대한 2차 가해라는 비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조재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미래통합당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빈소를 찾는 대신, 장례를 서울특별시장으로 치르는 게 '2차 가해'가 아니냐며, 여당에 날을 세웠습니다.

[김은혜/미래통합당 대변인]
"대대적인 서울특별시장은 피해자에 대한 민주당의 공식 가해로 여겨집니다."

통합당 의원 48명은 일각에서 박 시장의 죽음을 미화하면서 책임을 피해자에게 돌리고 있다며 비판 성명을 내놨습니다.

[전주혜/미래통합당 의원]
"정당한 법적 절차를 통해서 자신을 지키고 보호받고자 하는 용기를 낸 약자에게 더 이상 또다른 상처를 주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됩니다."

민주당은 장례를 마칠 때까지 '추모가 우선'이라는 방침 하에 대응을 자제하고 있습니다.

## 광고 ##대신 장례위원회를 통해, 2차 가해가 있어선 안 된다고 호소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박홍근/장례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
"고인을 추모하는 그 어느 누구도 피해 호소인을 비난하거나 압박하여 가해하는 일이 없도록 해주시기를 거듭 호소드립니다."

조문 여부와 장례 절차를 둘러싼 정치권 공방은, 박 시장뿐 아니라 백선엽 장군의 장례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통합당 일각에선 전쟁 영웅인 백 장군이 박 시장보다 홀대받고 있다며, 국가장 격상과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을 요구했습니다.

빈소에 간 김종인 위원장은 백 장군과 박 시장의 장례는 별개라면서도 서울현충원에 안장 못하는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김종인/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최대의 예우를 갖춰서 장례가 진행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정부를 대표해 백 장군을 조문한 정세균 총리는 육군장으로 잘 모시겠다며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노영민 비서실장과 서훈 안보실장 등 청와대 참모 4명도 빈소를 찾았고, 백 장군의 친일 행적을 의식해 공식입장을 내지 않았던 민주당도 어젯밤 이해찬 대표가 직접 빈소를 찾아 조문했습니다.

MBC뉴스 조재영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