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모든 산업이 위기, 연대와 협력의 힘 믿어"

  • 4년 전
문 대통령 "모든 산업이 위기, 연대와 협력의 힘 믿어"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경제주체를 청와대로 초청해 원탁회의를 열었습니다.

문 대통령은 모든 산업분야가 위기라며 경제주체의 연대와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강민경 기자.

[기자]

네, 청와대입니다.

회의는 점심시간을 넘겨서 2시간 반 가까이 진행됐습니다.

경영계와 노동계, 금융권 등의 대표와 둘러앉은 문재인 대통령은 모두발언 시작부터 지금이 무척 엄중한 상황이란 점을 강조했습니다.

지금 모든 산업분야가 위기라는 게 문 대통령의 강조점인데요.

특히 코로나19가 세계적 유행으로 번지면서 세계 경제까지 가라앉아버린 탓에 우리만 잘 극복해서 해결할 차원을 넘어섰다고 지적했습니다.

경제 위기가 장기화하겠다는 우려입니다.

그런 만큼 경제주체들이 모여 장기화할 위기 대책을 마련하자고, 오늘 자리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연대와 협력의 힘을 믿는다 했습니다.

임대료 인하 운동부터 노동, 금융계가 발표한 노사정 협력 선언문, 그리고 벤처와 스타트업의 코로나 맵 개발 등을 예시로 들었습니다.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총 32조 원에 가까운 지원을 포함해, 전례 없는 대책을 선제적으로 이어가겠다 말했습니다.

특히 기업인 출입국 문제, 예외적으로 허용하도록 노력하겠다 말했습니다.

[앵커]

참석자들도 소개해주시죠.

경제주체를 총망라했다고 하는데, 민주노총까지 참석했다고요?

[기자]

네. 양대노총 위원장이 모두 참석했습니다.

경영계 대표로는 박용만 대한상공회장과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중소기업을 대표해선 김기문 중소기업 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금융계에선 산업은행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가계 측 대표로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장이 나왔습니다.

앞서 청와대는 이번 원탁회의가 경제계와의 소통 행보 연장선이라고 밝혔습니다.

듣는 데 집중하겠다는 건데, 그래서 참석자 전부에게 발언 기회를 주었다고 합니다.

어떤 건의사항을 내놓았는지는 잠시 후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전해드리겠습니다.

미리 예측을 해보자면요.

기업이나 금융계 측은 과감한 유동성 공급과 채무 조정 정책을 촉구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영계는 52시간 제도 등의 한시적 규제 완화를 요청할 수 있겠고요.

민주노총은 조금 전에 자체적으로 입장을 내놨는데, 영세노동자와 비정규직을 챙겨달라는 말과 함께 재난생계소득 시행을 건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오늘 건의를 토대로 내일(19일), 문 대통령이 주재할 비상경제회의 의제를 확정짓겠다는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연합뉴스TV 강민경입니다. (km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