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환법 철회에도 시위 계속…中 '강경 대응' 시사

  • 5년 전
◀ 앵커 ▶

홍콩사태는 시위 88일 만인 어제, 캐리 람 행정장관이 송환법 철회를 공식 선언했죠.

하지만 시위대 측은 다섯 가지 요구 가운데 아직 한 개만 수용됐을 뿐이라며, 물러서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선 또다시 강력한 경고가 나왔습니다.

홍콩 현지에서 조희형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송환법 철회를 공식 발표한 후 오늘 다시 대중 앞에 선 캐리람 홍콩 행정장관은 철회 결정이 가짜 양보라고 주장하는 시위대의 우려를 일축했습니다.

다음달 입법회가 열리는 대로 법안을 폐기하겠다며 송환법은 분명히 철회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캐리 람/홍콩 행정장관]
"행정장관으로서 법안이 철회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힙니다. 토론도 없을 것이고, 투표도 없을 겁니다."

중국 정부도 법안 철회를 지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에선 또다시 강력한 경고가 나왔습니다.

특히 대만과의 연대 가능성을 겨냥했습니다.

인민일보는 오늘자 사설에서 14억 중국인의 가장 큰 민의는 협력을 통한 부흥이라고 전제하고, 이에 대항하는 대만과 홍콩 독립 지지자들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매우 강한 어조로 경고했습니다.

시위대의 분노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시위 과정에서 천 명이 넘는 시민이 체포된 상황에서 송환법 철회만으로 싸움을 끝낼 수 없다는 겁니다.

람 장관 사퇴와 행정장관 직선제 뿐만 아니라 경찰의 강경 진압에 대해서도 명확한 해결책을 요구했습니다.

[보니 렁/민간인권전선 부의장]
"시위대와 무고한 시민 천 명이 체포됐습니다. 그들을 두고 가는 것은 정의가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는 경찰 진압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요구하는 겁니다."

과거에도 람 장관이 발언을 뒤집은 적이 있다며 이번 결정에 대해서도 불신을 드러냈습니다.

[보니 렁/민간인권전선 부의장]
"2014년 우산혁명 때도 사회적 대화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했지만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내일부터 경찰의 과잉 진압을 규탄하는 의료진의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집회가 이어질 예정인 가운데 이번 주말이 홍콩 사태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홍콩에서 MBC뉴스 조희형입니다.

(영상취재: 김경락 / 영상편집: 안광희)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