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가 한국경제 망친다" / YTN

  • 5년 전
얼마 전 우리 인터넷 사용자 10명 가운데 8명이 가짜뉴스에 속은 경험이 있다는 외국 연구기관의 조사결과가 나와 충격을 줬는데요.

경제뉴스에도 가짜뉴스가 많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가짜뉴스에 대응하기 위한 관련 기관의 움직임도 분주합니다.

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제 위기', '해고 도미노', '고용 참사'

지난 한 해 동안 6개 경제신문이 최저임금 관련 기사를 송고하면서 단골 메뉴처럼 뽑은 제목들입니다.

매체별로 많게는 4천 번, 적게는 2천 번 이상 사용했는데 부정적인 내용 일색이었습니다.

하지만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하기보다는 정파성에 치우치거나 재벌 눈치 보기가 많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봉수 /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대학원장 : 지금 가짜뉴스가 창궐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와 관련된 가짜뉴스는 경기 침체기에는 투자심리와 소비심리를 위축시켜서 경기 침체를 더욱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 제어를 위해 언론의 자본으로부터의 독립과 사실 확인 시스템 강화를 주문했습니다.

[이창현 /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 언론인 스스로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알고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 실체가 과연 누구를 위해서 제대로 굴러가는가 이런 것들을 확인할 수 있는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달 초 세계적인 여론조사 기관인 '입소스'는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 85%가 가짜뉴스에 속은 경험이 있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은 상황.

방통위는 협의체를 구성해 가짜뉴스 퇴출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고삼석 /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 학계, 시민단체, 그리고 언론계가 참여하는 민간 자율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자율규제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를 어디까지 할 것인지, 구글과 페이스북 등 해외사업자에게는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가 고민거리입니다.

여기다 야당인 자유한국당이 언론통제 시도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어 구체적인 안 마련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YTN 최명신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0625052210059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