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구석진 곳에 '직원화장실'…화장실도 차별?

  • 5년 전

◀ 앵커 ▶

일부 백화점이나 명품 면세점에서 직원은 고객용 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멀리 떨어진 직원용 화장실까지 가야 하다보니 화장실도 제때 가지 못하는 직원들이 많습니다.

임상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서울 강남에 있는 한 백화점.

1층 화장품 매장 직원의 화장실 가는 길을 따라가 봤습니다.

일단 매장 바로 옆 고객화장실은 그냥 지나칩니다.

직원 전용 문을 열고 계단으로 한 층을 올라간 뒤, 또 다른 문을 열고 나와 다시 또 걸어갑니다.

외진 구석에 다달아야 직원용 화장실이 보입니다.

매장에서 약 2분 30초, 왕복 5분 거리입니다.

이렇다보니 화장실 한 번을 가려면 정말 큰 맘을 먹어야 합니다.

[백화점 매장 직원]
"(화장실) 가는데 동선도 너무 길고요. 시간도 오래 걸리고. 또 갔을 때 화장실이 너무 작기 때문에 굉장히 오래 기다려야 돼요. 고객 응대하다 보면 미처 가지도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지난해 한 대학 연구팀 조사에선 백화점 직원 88%가 회사로부터 고객 화장실을 사용하지 말라는 교육을 받았다고 할 정돕니다.

이렇게 대놓고 '고객 화장실을 사용하지 말라'는 공지문을 붙여놓은 곳도 있습니다.

[백화점 매장 직원]
"유니폼이 있기 때문에 아마 고객에게 보이는 것 때문에 백화점에서 좀 못하게 막지 않을까. 청소하시는 아주머니들도 직원들 들어오면 이용하지 말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런데 정작 손님들은 그런 줄도 몰랐고, 왜 그러냐는 반응입니다.

[김자현/백화점 고객]
"불편하지 않아요. 그냥 화장실 내에서도 직원 차림으로 오신 분이 있으면 '직원이시구나' 이 정도 생각 밖에 안 들지."

[백화점 고객]
"똑같은 사람인데 왜 불쾌해요? 화장실은 그냥 다같이 가는 거 아녜요?"

c.g) 지난해 백화점 면세점 직원들의 근무환경 조사에선 10명 중 6명은 화장실을 가고 싶어도 못 간 적 있다고 했고, 5명 중 한 명은 최근 1년 사이 방광염 치료를 받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직원들은 화장실마저 고객과 직원, 차별하고 구분하는 건 기본권 침해라며, 매장 바로 옆 일반 고객화장실도 쓸 수 있게 해달라고 국가인권위에 호소했습니다.

MBC뉴스 임상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