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폐기 이행 조치' vs '美 상응 조치' 줄다리기

  • 5년 전

◀ 앵커 ▶

오늘 있을 협상의 핵심은 역시 북한이 이행하겠다는 비핵화의 수준과 미국이 제공하겠다는 상응 조치의 수준에 서로가 만족할 수 있느냐 일겁니다.

협상의 예상 의제와 쟁점을 나세웅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리포트 ▶

비건 대북특별대표는 방한 직전 열린 미 스탠퍼드 대학 강연에서, 북한에 대한 요구사항을 상당부분 언급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해 플루토늄 우라늄 농축 시설까지 폐기하겠다고 이미 약속했다는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북한이 영변 핵시설 폐기 '그 이상'을 언급했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북한이 어느 수준까지 구체적으로 핵시설 해체와 폐기 약속을 지킬 수 있을 지가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비건 대표는 북한이 민감해 하던 전체 핵무기와 핵시설의 목록을 제출하는 '포괄적 신고'는 '어느 시점'에 가능할 것이라며 우선 순위를 미뤘습니다.

미국의 상응조치에 대해선 종전선언, 북미간 연락사무소 설치 그리고 남북 경협 사업에 대한 제재 면제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쟁점은 얼마나 빨리, 얼마만큼의 폭으로 상응조치를 내어 줄 것인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환상적인 호흡이라면서, 북한은 경제적 대국이 될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완전한 비핵화가 될 때까지 제재의 틀을 유지하겠다는 게 미국의 일관된 입장.

북한이 원하는 제재 완화의 폭과 속도가 미국의 요구와 절충될 수 있을지가 이번 실무 협상의 또다른 뇌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MBC뉴스 나세웅입니다.

추천